내용요약 삼중음성유방암 등 고형암에 새로운 해법 제시
박셀바이오 로고. /박셀바이오 제공
박셀바이오 로고. /박셀바이오 제공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대표 이제중)가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파마와 함께 고형암의 치료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규 표적 항암제 기술에 대한 3자 공동 특허를 출원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출원한 특허의 명칭은 ‘MYO1D 저해제 및 이의 용도’로 고형암 세포의 생존 및 증식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분자 모터 단백질 MYO1D(Myosin 1D)를 선택적으로 분해해 기능을 억제하는 신규 저분자 화합물에 대한 기술이다.

김경근 박셀바이오 R&D센터 전무 등 공동 연구진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PR)를 포함하는 다중 성장인자 수용체(GFR)가 MYO1D에 의해 원형질막에 유지되고 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규명했고 신규 저분자화합물을 처리하여 MYO1D 기능을 차단하면 암을 유발하는 다중 성장인자 수용체 자체가 감소돼 그 활성만을 억제하는 기존 표적항암제에 내성을 보이는 고형암 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박셀바이오는 이번에 특허 출원한 기술을 사용해 MYO1D 표적 저분자 항암제 ‘VCB-1301’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기존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나 단클론항체 치료에서 발생하는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작용기전의 차세대 고형암 치료제로 특히 삼중음성유방암, 폐암, 뇌신경교종 등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난치성 고형암 분야에서 새로운 해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는 “이번 특허 기술은 암세포 생존의 버팀목과 같은 MYO1D를 제거함으로써 암세포의 생존 기전 자체를 근본적으로 무력화하는 것으로,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라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셀바이오는 이처럼 산학연 협력 등을 기반으로 항암 치료의 획기적인 원천기술들에 대한 특허 등록 및 출원을 발빠르게 진행함으로써 주요 파이프라인의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고, 상업화의 초석을 다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