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생체 7502례, 뇌사자 1498례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이 지난달 30일 네 개의 수술방에서 생체 간이식 두 건을 동시에 시행하고 있다./서울아산병원 제공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이 지난달 30일 네 개의 수술방에서 생체 간이식 두 건을 동시에 시행하고 있다./서울아산병원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은 지난달 30일 알코올성 간경화를 앓아 온 윤 모 씨(여, 43세)에게 조카 정 씨(남, 20세)의 간 일부를 떼어내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단일 의료기관으로 세계 처음 간이식 9000례를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1992년 8월 처음으로 뇌사자 간이식 수술을 시행한 이후 32년 8개월 만이며, 2022년 9월 간이식 8000례 기록을 세운 이후로 2년 반 만이다.

서울아산병원은 1992년 뇌사자 간이식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생체 간이식 7502례, 뇌사자 간이식 1498례를 실시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이뤄지는 간이식의 85%는 생체 간이식이다. 생체 간이식은 뇌사자 간이식에 비해 수술이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위험도 크다고 알려져 있다. 높은 생존율을 담보하기 어려운 수술이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아산병원의 전체 간이식 생존율은 98%(1년), 90%(3년), 89%(10년)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간이식 역사가 깊은 미국 피츠버그 메디컬센터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메디컬센터의 간이식 1년 생존율은 평균 92%다.

9000번째 간이식 역시 생체 간이식으로 진행됐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면역학적 고위험군인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을 시행한 경험을 토대로 이식 전 환자에게 항체 형성 억제제를 투여하고 혈장교환술(혈장에 존재하는 질병 유발 항체를 제거해 다시 환자의 혈액으로 주입)을 시행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9000번째와 8999번째 간이식이 동시에 이뤄졌다는 점이다. 두 수술 모두 생체 간이식으로, 각기 기증자로부터 간을 절제하고 절제된 간을 수혜자에게 이식하기 위해 총 4개의 수술방이 열렸다. 한날한시 하나의 의료기관에서 복수의 생체 간이식이 이뤄지는 것은 세계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그만큼 개별 의료진이 수술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숙련도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수술 시스템도 정교하게 운영되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이승규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가 1998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변형우엽 간이식은 전 세계 간이식센터에서 표준 수술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수술법은 이식되는 우엽 간에 새로운 중간정맥을 만들어 우엽 간 전(全) 구역의 피가 중간정맥을 통해 잘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 해 30례에 그치던 생체 간이식이 100례를 넘겼고 수술 성공률도 70%에서 95%를 돌파했다.

이 석좌교수가 2000년 세계 최초로 고안한 2대1 생체 간이식은 간 기증자와 수혜자의 범위를 넓힌 데 의의가 크다. 기증자 2명으로부터 간 일부를 받아 수혜자에게 이식하므로, 기증자 간의 좌우엽 비율이 기준에 맞지 않거나 지방간이 심하거나 기증자가 고령인 경우에도 간이식이 가능하다. 그동안 650명이 넘는 환자들이 이 수술법으로 새 삶을 얻었다.

ABO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또한 서울아산병원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1126례를 시행했으며, 혈액형 적합 간이식과 대등한 성적을 보인다.

이 밖에도 서울아산병원은 ▲2001년 터키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04년 프랑스 최초(유럽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 ▲2006년 터키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 ▲2016년 중동 카타르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19년 카자흐스탄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을 성공시켰다.

이 석좌교수는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이 간이식 9천례를 달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환자들이었다"며 "간이식·간담도외과 집도의뿐만 아니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소화기내과, 감염내과, 소아외과, 소아청소년전문과, 수술실, 중환자실, 병동, 장기이식센터 등 수많은 의료진이 ‘원팀’이 되어 환자들의 장기 생존과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을 쏟아왔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