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근현 기자]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2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불법 비상계엄과 관련해 “계엄으로 고통 겪는 국민들께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사과했다. 김 후보가 12·3 비상계엄을 공개적으로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채널A 뉴스에 출연해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용태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계엄에 대해 사과한 것과 관련해 '후보 역시 사과할 의향이 있는가'라고 묻자 "계엄을 한 부분에 대해 국민들이 굉장히 어려워한다"며 "경제나 국내 정치도 어렵지만 수출, 외교 관계 등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는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계엄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에게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비상계엄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만약 갔더라도 찬성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비상계엄이라는 부분에 대해 한 번도 찬성한 적 없다"고 밝혔다.
이어 김 후보는 "앞으로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비상계엄 방식이 아니라 여야 간 잘못된 것은 대화, 설득, 인내를 통해 항상 민주주의를 완성하겠다"며 "계엄으로 민주주의가 이뤄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용태 공동선대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국민의힘이 배출한 대통령의 계엄이 잘못됐다는 것, 그리고 당 스스로 대통령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마땅한 책임을 지우지 못했다는 것, 계엄이 일어나기 전 대통령과 진정한 협치의 정치를 이루지 못했다는 것을 과오로써 인정해야 한다"며 "뼈 아프고 반성한다.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인 바 있다.
김 후보는 대표적 '반탄(탄핵 반대)' 인사로, 지난해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정부질문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일어나서 국민에게 사과할 것을 요구했지만 유일하게 사과를 거부한 채 앉아있었다.
이 같은 김 후보의 태도 변화는 본선에서 윤 전 대통령의 실정에 대해 비판적인 중도층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는 '극우' 이미지로 인해 본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이미지를 쇄신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