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F&B 자회사 편입..해외사업 확장
[한스경제=양지원 기자] 동원그룹이 글로벌 식품 사업 강화를 위해 대대적인 사업 구조 재편에 나섰다. 지주사인 동원산업은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결정했다. 해외 사업을 확장하며 글로벌 영향력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동원산업과 동원F&B는 지난 14일 이사회를 열고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 체결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동원산업은 보통주 신주를 발행해 동원F&B 주주에게 1(동원산업) : 0.9150232(동원F&B)의 교환 비율로 지급할 예정이다.
주식교환이 마무리되면 동원F&B는 동원산업의 100% 자회사로 편입되고 상장 폐지된다. 상장폐지일은 오는 7월 31일로 예정돼 있다. 양사는 주식교환 안건을 의결하기 위한 주주총회를 6월 11일(잠정)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주식교환은 동원산업이 동원F&B와 함께 글로벌 식품 시장에 적극 진출해 제2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식품 시장은 경제성장률 둔화, 내수 침체, 경쟁 심화 등 구조적 변화에 직면해 있는 만큼 글로벌 시장 진출은 필수라는 판단이다.
동원산업은 동원F&B 편입 이후, 동원홈푸드, 스타키스트(Starkist), 스카사(S.C.A SA) 등 식품 계열사를 ‘글로벌 식품 디비전’으로 묶어 전략적 추진과 시너지 창출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그룹의 해외 식품사업 매출 비중을 2024년 기준 22%에서 2030년까지 40%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R&D(연구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한다. 계열사에 흩어져 있던 R&D 조직을 ‘글로벌 R&D 센터’로 통합하고, 해외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에 주력한다. 지난해 기준 매출 대비 R&D 비중은 0.3%에 불과했지만, 이를 2030년까지 1%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동원그룹이 동원F&B의 상장폐지까지 감행하며 해외시장 확대에 나서는 이유는 바로 수익성 때문이다. 실제로 해외 매출 비중이 높은 오리온, 삼양식품 등의 기업은 영업이익률도 높게 나타난다. 지난해 삼양식품과 오리온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20%, 17.5%였고, 이들의 해외 매출 비중은 각각 77%, 65%에 달했다.
이번 재편으로 공격적인 M&A도 가능해졌다. 그동안 동원F&B만으로는 자금력 부족으로 글로벌 대형 M&A에 한계가 있었지만, 앞으로는 동원산업 주도로 빠른 성장을 위한 M&A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주식교환을 통해 ‘중복 상장’ 문제도 해소하게 됐다. 중복 상장은 지배구조의 불투명성 논란으로 이어지며 한국 증시 저평가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돼 왔다.
증권가에서는 동원의 이번 사업 구조 재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주식교환을 통해 동원산업이 보유한 자회사 스타키스트와의 시너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스타키스트는 미국 내 참치캔 시장 점유율 45%를 차지하는 수산 기업으로, 이를 통해 북미와 중남미 시장 판로를 개척할 수 있다. 또한 세네갈의 참치어획 및 가공 자회사인 스카사, 캅센 등과의 협업도 추진된다.
15일 기준, 동원산업은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동원F&B를 자회사로 편입하겠다는 소식에 주가는 한때 4만750원까지 치솟았다.
권우정 교보증권 연구원은 “이번 편입을 통해 동원F&B 및 동원홈푸드 제품을 스타키스트의 180여 개 유통망을 활용해 미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글로벌 식품 사업군 성과와 통합 후 해외시장 매출 비중 확대 성공 여부가 관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양지원 기자 jwon04@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