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형마트 규제의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 無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스경제=이수민 기자]  전통시장 상생 목적으로 10년 넘게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실효성 논란에 휩싸였다. 대형마트 휴업일에 전통시장 구매액도 함께 줄어든 반면, 온라인몰 구매액은 2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2022년 주말 식료품 구매액을 분석한 결과, 대형마트 휴업일에도 전통시장에서의 소비는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일요일) 전통시장의 평균 식료품 구매액은 610만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630만원)에 비해 낮았다. 

유민희 한경연 연구위원은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들 닫더라도 전통시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대신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면서, “구매액 분석에 따르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과 2022년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의 식료품 평균 구매액을 비교한 결과, 전통시장에서의 구매액은 55% 감소(1,370만원 → 610만원, 의무휴업일 기준)했다. 반면 온라인몰 구매액은 20배 이상 증가(350만원 → 8,170만원, 평일기준)했다. 

오프라인 유통업(대형마트·전통시장·슈퍼마켓)에서의 2022년 식료품 구매액은 2015년 대비 모두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소비자의 구매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대형마트의 판매지수는 2011년 1분기 114.2에서 2024년 4분기 92.0으로 감소했다. 반면 인터넷쇼핑 판매지수는 2011년 1분기 21.8에서 2024년 4분기 135.3으로 급증, 2020년을 기점으로 인터넷쇼핑 판매액이 대형마트 판매액을 추월했다. 

그 결과 대형마트 3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최근 10년간 대형마트 52곳과 기업형 슈퍼마켓(SSM) 202곳이 폐업하는 등 오프라인 유통업 전반의 침체가 심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경연 관계자는 "단순히 대형마트 영업 제한을 통해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방식은 온라인 시장 성장과 소비자 행동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단편적 접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형마트 규제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이 살아나지 않는다는 것이 데이터로 확인된 만큼 단순 규제중심적 접근 대신, 디지털 기술 도입, 현대적 경영 기법 적용, 지역 커뮤니티와의 유기적 연결 등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유민희 연구위원은 "의무휴업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라며 "온라인,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유통 생태계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