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IMO, 2027년 발효 목표 ‘해운 탄소세’ 도입 여부 결정
탄소세 금액과 시행 여부 놓고 회원국 간 ‘온도 차’
정식 도입 시 국내 조선업계 ‘반사이익’ 전망
국제해사기구(IMO)가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해운 탄소세 도입 여부를 결정한다. 정식 도입돼 2027년 발효된다면 친환경 선박 강자인 한국 조선업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 사진=연합뉴스
국제해사기구(IMO)가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해운 탄소세 도입 여부를 결정한다. 정식 도입돼 2027년 발효된다면 친환경 선박 강자인 한국 조선업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세계 최초로 글로벌 해운 탄소세 시행 여부가 이번 주 결정된다. 해운 탄소세가 도입되면 글로벌 해운사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서라도 보유한 선대를 친환경 선박으로 변경할 수밖에 없다. 이에 친환경 선박 강자인 국내 조선사들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7일(현지시간) 영국 더 가디언, AP통신 등 다수 외신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IMO)는 11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의 최우선 안건은 2027년 시행하기로 합의한 해운 탄소세 금액을 결정하는 것이다. 아르세니오 도밍게즈 IMO 사무총장은 “이 조치들은 단순한 기후 목표를 넘어 구속력을 갖는 의무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0년간 각국의 선박 규모가 커지고 1회 운항 시 더 많은 화물을 운송하면서 사용하는 연료도 계속해서 늘어났다. 해운 산업은 국제 교역량의 90%를 담당하는 핵심 산업이지만, 2020년 기준 연간 10억8000만t(톤)의 탄소를 배출해 전 세계 배출량의 3%를 차지한다. 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선박들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해운 탄소세는 당초 지난 2월 열린 정례회의에서 확정될 것으로 점쳐졌으나 회원국 사이 시행 금액과 여부를 놓고 입장차가 커서 이달로 합의가 연기됐다. 현재 논의 중인 탄소세는 온실가스 1t당 18~150달러 수준으로, 유럽연합(EU)·일본·영국 등 주요 해운국들은 낮은 세율을 주장하는 반면, 마셜군도 등 도서국들은 150달러 수준의 강력한 탄소세 부과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브라질, 중국 등 일부 국가는 탄소세 도입이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시행을 반대하고 있지만, 도서국들은 탄소세를 걷어서 일부를 도서국들의 기후 대응 자금으로 사용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해운 탄소세가 확정되면 이는 특정 산업군에 탄소 배출에 관한 글로벌 차원의 세금을 부과하는 첫 번째 사례가 된다. 세계은행은 탄소세가 1t당 100달러 수준으로 책정될 경우, 2025~2050년까지 글로벌 해운업계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매년 최대 600억달러(약 8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EU와 미국 등의 탄소 배출 규제 압박을 받는 해운업계의 부담이 커지는 셈이다.

EU는 ‘퓨얼EU마리타임(Fuel Maritime)’ 규제를 도입해 2029년까지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2%씩 줄이고, 2050년까지 80% 감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 역시 2023년 발의된 ‘친환경 해운법(CSA)’을 통해 2040년까지 모든 상업 선박의 탄소 배출량을 0%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탄소세가 정식으로 도입돼 2027년 발효된다면,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우리 조선업계가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조선사들은 이미 LNG 이중연료 추진선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지난 1월 HD한국조선해양은 유럽 선사와 3조7160억원 규모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수주 계약을 체결했고, 3월에는 한화오션이 대만 애버그린과 2만40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을 수주하며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했다.

한승한 SK증권 연구원은 ‘선박의 심장이 뛴다’ 보고서를 통해 “높은 강도의 IMO 규제안이 채택된다면, 컨테이너선뿐만 아니라 벌크와 탱커 또한 노후선대 교체 및 친환경 선박 발주 수요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저속운항을 통한 환경규제 충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현존선의 유지가 아닌 추가 선박 투입 혹은 친환경 선박으로의 교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벌크선, 탱커, 컨테이너선 선종 위주의 친환경 선박 교체 발주는 꾸준할 것”으로 내다보면서 “국내 조선사들은 이를 계기로 수주 경쟁력을 더 높여갈 것”으로 관측했다.

 

신연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