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전시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가가 가상화폐 시장에서 영향력을 급속도로 확대하면서 이해충돌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 가상화폐 정책 기조 속에서 자녀들의 관련 사업 확장이 이어지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31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주니어와 차남 에릭이 설립한 AI 인프라 기업 '아메리칸데이터센터'(ADC)가 비트코인 채굴업체 'HUT8'과의 합병을 통해 '아메리칸 비트코인'을 출범하기로 했다. 새롭게 출범하는 아메리칸 비트코인은 6만 1천대의 채굴기를 운영할 예정으로 이는 전 세계 최대 규모다.
트럼프 가문의 가상화폐 사업 확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들은 지난해 9월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을 설립해 트럼프 대통령 부부의 밈 코인을 판매해 8천억 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최근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을 선언했으며 SNS '트루스소셜'에도 3700억 원 규모의 가상화폐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트럼프 일가의 행보는 현 대통령의 가상화폐 정책과 맞물려 논란을 키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미국을 가상화폐의 수도로 만들겠다"고 선언하며 행정명령을 통해 가상자산 전략 비축을 지시했다. 이는 범죄 수익으로 압수한 비트코인을 매각하지 않고 보유하며 정부 예산으로 추가 매입까지 하겠다는 적극적인 친가상화폐 정책이다.
리처드 페인터 전 백악관 수석 윤리 변호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는 골프장과 호텔로 이해충돌 논란을 일으켰다면 이번에는 가상화폐로 더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통령의 정책 발표가 가상화폐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일가의 관련 사업 확장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에릭 트럼프는 "우리 가문의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어 위험 분산 차원에서 가상화폐에 투자했을 뿐"이라며 해명했지만, 정치계에서는 이해충돌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시현 기자 jsh418@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