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물류비 해소로 '어닝서프라이즈' 전망도
[한스경제=고예인 기자] 전자업계의 1분기 실적 발표시즌이 다가오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성적표에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의 부진으로 기대에 못미치는 실적을 낼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인 반면 LG전자는 물류비 부담 해소 등의 영향으로 깜짝 실적을 기록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오는 7~8일쯤 1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액 77조1177억원, 영업이익 5조1565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23% 늘어난 것이지만 영업이익은 21.94% 줄어든 수치다.
반도체(DS)사업부문의 실적 하락이 지속된 것이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주력 사업인 메모리 반도체 D램 사업도 부진했거니와 시스템LSI, 파운드리(위탁생산) 사업에서 대규모 손실을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가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에서도 부진을 면치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대비 HBM 판매 수량이 75% 이상 감소해 D램 혼합평균판매단가 하락폭이 클 것으로 추정한다"며 "파운드리와 시스템LSI는 2024년 4분기와 유사한 2조 중반대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관계자는 “삼성전자의 1분기 부진은 이미 예고된 상황”이라며 “최근 메모리 업체들의 단가 인상 통보와 낸드의 공급 제한 효과가 2분기부터 나타날 것을 감안한다면,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LG전자는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에프앤가이드는 LG전자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22조412억원, 1조2426억원으로 전망했다. 일부 증권사는 LG전자가 시장의 전망치를 웃도는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KB증권은 LG전자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를 1조4000억원으로 내다봤고 키움증권은 1조3267억원으로, 신한투자증권은 1조3000억원으로 영업이익 추정치를 상향 조정했다.
증권가는 LG전자가 최근 물류비 이슈를 해소하고 생활가전(H&A) 사업의 성장이 지속되면서 실적이 개선됐을 것이란 관측이다.
또한 냉난방공조(HVAC) 사업과 구독 사업 등 아시아 신흥 시장을 바탕으로 LG전자가 강세를 보이는 점 역시 수익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미국 테네시 공장 증축과 생산라인 재배치 작업을 통해 관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점도 호재다.
향후 전망도 밝다. LG전자는 미국 관세와 물류비 변동성 확대 등을 고려해 최근 미국 테네시 공장 증축과 생산라인 재배치 작업을 완료하며 미국의 상호 관세 우려를 완화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LG전자는 4월부터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가 시작돼도 멕시코에서 생산 중인 냉장고, 오븐 등을 테네시 공장에서 이전 생산이 가능해져 관세 우려가 완화됐다"며 "지난해 4000억원 이상 증가된 물류비는 선박의 공급 증가율이 수요 증가율을 2배 상회함에 따라 선박 공급과잉 영향으로 올해 물류비는 전년대비 60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고예인 기자 yi411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