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 사업자 입찰 유찰 후 증액 협의 중...결정 안나”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차세대 쇄빙연구선 도입과 관련 총사업비가 증액돼 답보 상태였던 해당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른다는 보도에 대해 해양수산부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해수부는 21일 해명자료를 통해 ‘정부가 차세대 쇄빙연구선 총사업비를 571억원 증액시키고 5월 말 입찰 공고를 낼 예정’이라는 모 매체의 보도에 대해 오보라고 밝혔다.
해당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차세대 쇄빙선 건조에 배정된 예산이 부족해 지난해 이뤄진 입찰 공고에 아무도 참여하지 않았는데 기획재정부가 최근 건조 사업의 총사업비를 2605억원에서 571억원 늘린 3176억원으로 확정했다.
이에 주무 부처인 해수부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은 지난 20일 열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 심의위원회에서 기재부가 확정한 총사업비 조정 결과를 의결했다는 것이다. 또 사업 추진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예산 문제가 해결돼 신규 선박 도입이 정상 궤도에 오를 전망이라며 “5월 중에 입찰 공고를 개시하려고 한다”는 극지연구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자 선정 입찰이 최종 유찰된 이후 총사업비 증액을 놓고 기재부 등과 협의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규모는 결정된 바 없다”고 강조했다.
해수부와 극지연구소는 2022년부터 총사업비 2744억원을 들여 북극 연구를 전담할 1만6000톤급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2026년까지 건조하고 2027년 취항시킨다는 목표로 도입을 추진해 왔다.
이 프로젝트는 2021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예산(순수 선박건조비) 2269억원을 배정받았다. 이 예산에는 건조 사업자로 선정된 조선사가 수행할 실시설계와 건조비가 포함돼 있었다. 2023년 4분기 국내 주요 조선사들을 대상으로 입찰을 진행했지만 건조비 2269억원에 선뜻 나서는 조선사가 없어 유찰됐다.
해수부는 이후 약 10억원을 추가로 증액해 지난해 여름 2차 입찰을 실시했지만 단 1개 사도 응찰하지 않았다. 이에 해수부는 사업 완료 기간을 3년 늦춰 2029년으로 재설정했다.
임준혁 기자 atm1405@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