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군산시·군산해수청·군산컨테이너터미널 등 합동 포트세일단 구성
4대 활성화 대책 추진, 수심 확보 위해 군산항 유지 준설 예산 확대
전북도청 전경./전북도
전북도청 전경./전북도

[한스경제=이인호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군산항의 지속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 4대 활성화 대책을 추진한다.

도는 △포트세일 추진 △지방공기업 설립 검토 △특송화물 통관장 규모 확대 건의 △준설 예산 확대 및 제2준설토 투기장 신속 추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군산시, 군산해수청, 군산컨테이너터미널 등 유관기관과 합동 포트세일단을 구성해 국내외에서 물동량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국내 주요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방문 마케팅’을 추진하고, 해외에서도 화주 및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군산항 홍보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투 트랙(Two Track) 전략’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군산항의 전략 화물(컨테이너, 자동차, 우드펠릿) 유치를 확대하고, 국내외 물류 네트워크 구축 및 신규시장 개척을 통해 잠재 고객을 확보한다는 전북도의 계획이다.

군산항은 지속적인 토사 퇴적 문제로 인해 수심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물동량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도는 항만 운영, 배후단지 관리, 포트세일 등의 업무를 수행할 준설 전문 운영기관 설립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용역비를 확보해 지역경제 효과, 재정자립도, 사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지난해 2월 개장한 군산항 특송화물 통관장은 전년 대비 340% 증가한 약 700만 건의 특송 물류를 처리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와 관련해 도는 군산항이 대중국 전자상거래 거점 항만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특송업체 확대 및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보고, 특송업체 화물 유치 인센티브 지원과 함께 행정안전부, 관세청에 통관장 규모 확대를 위한 인력 증원 및 시설 확충을 건의하는 등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여기에 토사 퇴적에 따른 계획수심 확보가 어려워 대형선박 입항 기피 등 항만의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은 만큼 안정수심 확보를 위해 군산항 유지 준설 예산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미정 새만금해양수산국장은 “군산항은 1899년 개항 이후 126년 동안 전북 유일 무역항으로 역할을 해 왔다”며 “올해 다양한 정책들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군산항이 국제 물류의 중심 항만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인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