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미 과학기술 협력 강화 위한 간담회 개최
미국 에너지부 '민감국가' 지정에 과학계 우려 언급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9일 대전 유성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열린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9일 대전 유성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열린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제1차관은 19일 대덕 특구에서 주요 출연연들과 한미 과학기술 협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12개 기관은 미국 신정부와의 과학기술 협력사업 발굴을 논의했다.

이 차관은 "미국 에너지부(DOE)에서 우리나라를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을 확인하면서 과학계의 우려가 커진 것을 알고있다"며 "우리부는 외교·산업·기재부와 수시로 소통하면서 미국 백악관, 에너지부, 국무부 등 관련 기관들과 적극 협의 중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에너지부는 과학기술 협력에 문제가 없으며 향후 협력 의지가 높다. 다만 곳곳에서 우려가 많아 과학기술계의 불안이 높아지고 사기가 저하될까 걱정스럽다"고 덧붙였다.

한미 양국은 올해 3006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협력을 진행중이다. 특히 ▲합성생물학 ▲2차전지 ▲핵융합 ▲원자력 등 4대 핵심 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하면서 학계는 연구 협력에 차질이 생길 것을 우려했다.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에너지부가 원자력 등 국가 안보 기술 공유를 제한하거나 인력 교류 및 공동 연구·프로젝트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있다.

이 차관은 “미국 신정부와의 과학기술 협력을 지속 강화하기 위해서는 미국 국립연구소, 유수 대학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보유한 우리 출연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향후 한미 간 고위급 면담 등을 주선해 협력 사업이 더욱 확장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과기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방미일정에서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는 기회에 관계부처 의견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박정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