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이호영 기자] 달러·원 환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 위협을 반영해 1450원 턱밑까지 오른 채 마감했다. 

미국 현지시각으로 8일 새벽 2시 달러·원 환율은 전장 서울 환시 종가 1442.40원 대비 4.90원 오른 1449.30원에 마감했다. 이번 장 주간 거래 종가 1446.80원이 비하면 2.50원 상승한 것이다. 

오후 10시 반께 나온 미국 2월 고용보고서 영향으로 달러·원 환율은 급등락을 거듭했다. 달러·원 환율은 1448원 수준에서 뉴욕 장에 진입했지만 미국 노동부 2월 비농업 고용이 전달보다 15만1000명 증가, 시장 전망치 16만명을 하회한 것으로 발표되자 1443.80원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하면서 오후 11시14분경엔 1448원까지 올랐다. 

고용보고서 발표 전으로 돌아간 것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DXY)도 고용지표에 급등락을 반복하다가 결국 발표 전 수준인 103.6 수준으로 회귀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향후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면서 2월 고용보고서 자체엔 큰 의미를 두지는 않고 있다. 래퍼 텡글러 인베스트먼츠의 바이런 앤더슨 채권 책임자는 "트럼프 대통령발(發) 혼란이 길어질수록 데이터 추세가 부정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무엇보다 달러·원 환율은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상승세를 이어가며 고점인 1449.80원을 찍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캐나다와 멕시코 관세를 두고 "시간이 지나면 상승할 수 있다"며 "예측 가능성이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했다. 

이호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