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한다면 15조원 예상…취약층 지원 대상 정부와 논의"
[한스경제=주진 기자] 국민의힘은 5일 국제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철강 산업의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하며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혔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업계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요즘 철강산업이 어렵다고 한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25% 관세, 글로벌 공급과잉, 저탄소 전환 요구의 압박 등 여러 위기가 동시에 오고 있다"며 "국가 기간산업인 만큼 국가 차원의 보호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에서 철강산업 지원에 대한 컨센서스는 마련돼있지만, 지원 법안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다"며 "국가전략 기술, 원천기술 세액 공제율 확대, 국내 철강 공급망 강화를 위한 원산지 규정 확대 등 각종 지원을 집대성할 '철강산업 지원 법안'을 조속히 발의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미국이 수입산 철강재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 내 철강 가격 상승과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 같이 관세를 협상 도구로 활용할 가능성도 높다"며 "여전히 협상의 여지는 남아있는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정부가 중국산 철강 후판에 최대 38%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에 대해 "중국산 철강의 저가 공세에 대응하고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적절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권 원내대표는 "급변하는 무역 질서에 제도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기술력 신장이 중요하다. 저탄소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하고 미래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며 "우리 역시 일본, EU처럼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R&D 및 실증·상용 설비 투자에 제도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포스코 포항제철소 방문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추경에 대한 질문에 "추경을 하더라도 15조원 내외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지원 대상을 얼마만큼으로 하느냐에 지원 규모가 왔다 갔다 한다. 3조원이나, 5조원이 될 수 있고, 10조원이 될 수 있다"며 "좀 더 정부와 논의하고 구체적 지원 대상이 확정돼야 정확한 규모가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심성이 아니라고 여러 차례 얘기했다"며 "사회에서 어렵고 소외된 취약계층을 정부가 지원해주는 것이 복지국가의 기본"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국민의힘은 760만명 영세 소상공인 대상 1인당 100만원 상당의 에너지 공과금 바우처 및 200만원 상당 시설·장비 구입 바우처 지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차상위계층 대상 1인당 최대 50만원 선불카드 지원 등 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PK(부산·울산·경남)·TK(대구·경북)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의원 연수에 참석, 당내 소통과 내부 결속에 나섰다.
권 위원장은 기초의원 연수에 앞서 경북 경주를 방문해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주진 기자 jj72@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