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권선형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흐름이 약화되면서 ESG 추세가 주춤하거나 퇴행할 가능성이 많지만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입니다.”
조명래 단국대 석좌교수(전 환경부 장관)는 지난달 13일 서울 종로 서머셋팰리스서울 2층 회의실에서 열린 ESG행복경제연구소의 '2025년 ESG 자문위원단 정례회의'에 평가자문위원으로 참석한 자리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러나 이런 퇴조 흐름은 근본적인 변화라기보다는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단언했다.
조 교수는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ESG 퇴행 조짐이 보인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가 한국 기업들의 ESG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특히 수출 기업들의 경우 미국이나 유럽의 ESG 관련 규제 약화에 따라 ESG 정책을 소극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조 교수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응 사이의 괴리로 ESG 추세가 약해졌다고 분석했다. 조 교수는 “기후 변화는 누구나 지금 다 받아들여야 된다고 하면서도 기후 변화 대응은 달리 적용하고 있다”며 “결국 비용 부담 문제가 기업들의 실질적인 대응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딜레마는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2025년 기준 전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이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2050년까지 연간 38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조 교수는 환경 정책이 정권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현상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파 정부들이 들어서 시장주의 정책으로 조금 돌아가는 듯 하지만 기후변화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나라는 없다”며 정권을 떠나 환경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이 1.5도에 임박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로 인한 기후 변동의 극대화와 사회적 비용 증가를 우려했다. 실제로 지난해는 역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고 평균 기온이 1.5도를 넘어선 첫 해였다.
조 교수는 지속가능한 환경 정책 수립을 위해 초당적 협력 체제 구축, 장기적 로드맵 수립, 과학적 근거 기반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여야 정당 간 환경 정책에 대한 기본적 합의가 돼야 한다”며 “그래야 정권 교체와 무관한 중장기 환경 정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정책 수립 과정에 시민사회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반영돼야 한다”며 “정치적 이해관계보다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결정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환경 문제는 특정 정파나 세대의 문제가 아닌 전 인류의 과제”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협력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도시지역계획학 전공으로 영국 서섹스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환경회의 공동대표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등을 거쳐 제18대 환경부 장관을 지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