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보험서비스 혁신의 3대 핵심 전략 중심으로, 19개 세부 과제 추진 예정
손해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한스경제=석지연 기자] 손해보험협회가 올해 인구·기후·경제 등, 사회 전반의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비해 손해보험의 사회 안전망 역할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해 기후보험과 구독보험 등, 차별화된 전략을 펼친다.

손해보험협회는 19일, 신년 기자 간담회를 열고 손해보험의 내실 있는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 방향’을 밝혔다. 

이병래 손해보혐협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속가능성 확보와 소비자 신뢰도 제고하기 위해 보험 서비스 혁신의 3대 핵심 전략을 중심으로 한 19개 세부 과제를 추진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보험 산업은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내수 위축 등으로 인한 국내 경기 활력 둔화와 함께 미국 신정부 출범, 글로벌 금리변동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등의 다양한 대내외 거시경제 위험 뿐 아니라, 금융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른 소비패턴 변화 및 세대별 보험 수요 다변화를 직면하고 있다”며, “융복한 비즈니스 모델 확산 및 디지털 이니셔티브에 대한 시대적 요구 등은 새로운 위기이며 기회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손해보험업계는 우리나라가 직면한 사회·경제 리스크 해소 및 금융 소비생활을 혁신하기 위해 3대 전략을 마련하고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3대 핵심 전략은 ▲사회 안전망 역할 확대 ▲손해보험산업 지속가능성 확보 및 소비자 신뢰도 제고 ▲보험서비스 혁신이다. 

사회 안전망 역할 확대는 손해보험산업계가 인구·기후·경제 등의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안전망 역할을 확대함으로써 국민들의 안정적인 삶의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출산·초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 변화에도 촘촘한 손해보험 보장을 제공할 계획으로 "난임치료 보장 및 산후조리지원 상품 등 출산 관련 신상품 개발을 활성화하고, 노인 돌봄 장기화로 인한 경제적 리스크 대비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손해보험협회는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발생이나 소득상실 등이 기후취약계층에게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정부부처·지자체와 함께 기후보험 활성화 노력을 펼치겠다“며 "소상공인·청년 등의 경기불황 극복을 위한 포용적 보험을 확대해 나가고, 무인점포 이용자 피해보상보험과 같은 일상생활 위험 보장 보험의 저변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전략인 지속가능성 확보 및 소비자 신뢰도 제고를 위해선 손해보험산업의 펀더멘탈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한 사회적 책임도 적극 이행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보험 과잉진료 방지대책 추진과 보험사기 대응 패러다임 전환 등이 있다.

소비자 보호 강화 통한 신뢰도도 제고한다. 고령자들에게는 비대면 보험가입 서비스를 개선하고 보험 판매수수료 체계의 합리적 개편을 지원한다. 사회공헌활동 강화 등 ESG 활성화도 지원한다.

세 번째 핵심 전략인 보험 서비스 혁신을 위해 손보업계는 디지털 이니셔티브를 통한 인슈어테크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다양한 보험 상품을 한 번에 가입할 수 있고 보험 외 서비스와도 연계 가능한 보험상품 구독서비스 도입 방안을 검토, 마련할 계획이다”며,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별 맞춤형 보험 서비를 확대하고자 펫·요양·헬스케어 등, 종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의 범위를 넓히고 의료, 교통 등 비금융 마이데이터 활용을 확대하고 AI 기반 조성을 위한 표준 지침 마련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석지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