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호영 기자] "고객님의 소중한 상품이 배송 예정입니다. 배송 예정 시간 14~16시..."
지난 일요일 오전 CJ대한통운이 보내온 택배 알림 문자다.
CJ대한통운이 올 들어 주 7일 배송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쿠팡 소비자뿐 아니라 자체 물류시스템이 없는 일반 오픈마켓 택배 소비자도 신선식품을 포함해 여러 가지 물품을 365일 받을 수 있게 됐다.
쿠팡 로켓배송 등 택배 서비스 경쟁 심화에 대응해 CJ대한통운이 주 7일 배송 시행에 들어간 지 한달 가량이 지나면서 소비자 배송 편의를 높이리란 기대와 물류 현장에서의 배송기사 과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교차하는 모습이다.
CJ대한통운은 도입하기로 한 주 5일 근무제가 현실적으로 안착하도록 원청으로서 대리점 등 일선 물류 현장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적절한 조치를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업계 등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올 1월5일부터 '매일 오네' 주 7일 배송을 시행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이처럼 '주 7일 배송시스템' 적용과 함께 '주 5일 근무제' 도입 등 배송기사 휴식권 확대를 위한 안전장치도 동시에 갖춰오고 있지만 과로사 등 가능성에 대해 노동계 등은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지금까지 배송기사들은 주 6일 근무해왔다. 주 7일 배송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택배기사가 원한다면 주 5일만 일할 수도 있게 됐다. CJ대한통운은 주 5일 근무제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주 7일 배송시스템 근무 형태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주 60시간 내 근무 원칙을 지키고 휴무일을 조정하는 순환근무제를 시행한다. 스케줄 근무로 자신의 권역 이외 다른 택배기사 권역을 배송할 경우 난이도에 따라 한시적으로 추가수수료를 지급한다. 차츰 라우팅 시스템 개발로 택배 기사 업무 부담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택배기사 업무용 앱도 주 6일을 초과해서는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등 심야배송과 무리한 연속근무를 제한하고 휴일근무에 대해서는 배송수수료 할증 지급 등 보상을 제공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이 주 7일 배송 시행에 앞서 지난해 9월부터 CJ대한통운과 CJ대한통운대리점연합, 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는 서비스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택배기사 등 종사자 삶의 질 확대를 위해 협력상생모델로서 주 5일 근무제 도입 등 잠정 합의안을 만들고 지난달 14일 기본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선 택배 업무 현장에서는 일부 대리점들이 주 7일 배송 등을 강요하면서 이런 합의안이 무색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진보당 등에서는 CJ대한통운이 지난달(1월) 5일 본격적으로 주 7일 배송에 들어간 이후 배송 현장에서 반노조 성향의 대리점들이 노사 합의 몇 주만에 계약 해지나 구역 조정, 강제 근무 등을 강요하고 있다고 밝혔다.
쿠팡 등과의 배송 서비스 경쟁 심화 상황에서 주 7일 배송 도입이 불가피하다는 데엔 노조와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CJ대한통운도 배송기사 과로 가능성을 예방하려는 데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아직 배송 밀집도가 낮은 일부 지역은 서비스를 제외했는데 CJ대한통운은 "물량이 증가하기 전까지는 휴일 배송기사가 지나치게 넓은 구역을 맡아 생길 수 있는 과로를 방지하려는 조치"라고 했다.
일부 대리점이 주 7일 배송을 강요한다는 지적에 대해 택배 노조 한 관계자는 "시행 초반 택배 물량이 적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 같다"며 "원래도 일요일엔 택배 물량이 없고 월요일에도 물량이 적었다. 월요일 물량을 일요일과 월요일에 나눠 하다보니 택배기사 참여가 저조하다. 이러다보니 몇몇 특정 기사에게 부탁하게 되고 잇따라 7일 근무자도 생기는 상황"이라고 봤다.
이어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일선 기사 참여가 저조한 것은 당장 휴일배송을 하면서도 주 5일을 보장받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며 "또 휴일 배송과 타구역 배송 인센티브를 준다고 하지만 이런 유인책들이 참여를 늘리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사실 주 7일 배송 시행 전 과로 문제도 현장 사정마다 다 달랐다. 주 7일 배송, 주 5일 근무 시행도 사업장마다 들여다봐야 할 것"이라며 "이젠 분류 작업이 빠지면서 주 60시간을 넘기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는 않아졌다. 다만 분류 작업이 안 빠진 일부 사업장은 넘기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호영 기자 eesoa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