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광주)=김두일 기자] 광주시(시장 방세환)는 13일, ‘을사년 e-정책 소통’ 첫 번째 시간으로 2025년 시정 주요 정책을 발표하며, 시민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이번 발표에서는 지역경제, 교육‧복지, 도시 기반 시설, 교통 정책 등 광주시의 발전을 이끌 핵심 정책들이 소개되었다.
우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는 ‘5개의 골목형 상점가’를 추가 지정하고, ‘지역경제 살리기 캠페인’과 ‘경제 활력 지원’을 통해 민생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계획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으로 17억 원 규모의 경영 자금을 지원하며, 기업 역량 강화를 위해 83억 원을 투입해 기업 환경 개선 사업도 추진한다.
또한, 시는 2025년 예산의 44.4%에 해당하는 5천521억 원을 교육‧복지 정책에 집중 투자한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임신‧출산 지원 확대와 생애 주기별 맞춤형 복지 정책으로 아동부터 노년층까지 모두가 행복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도시 기반 시설 측면에서는 ‘2040 광주시 도시기본계획’을 기반으로 각종 개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며, 2030년 광주역 중심의 철도 시대를 대비해 MICE 산업과 교통 환승기능을 강화한 50만 자족도시의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교통 분야에서는 철도망 사업을 포함한 주요 도로 개통과 교통체계 개선을 통해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계획이다. 특히, 안성구리 고속도로와 역동양벌 도로 개통을 통해 출퇴근 시간대 교통 혼잡을 해소한다.
마지막으로, 2026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를 대비해 종합운동장, 국제 공인 실내수영장 등 8개 주요 시설의 공정을 올해 안으로 마무리 짓고, 시민들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엘리트 선수 육성과 생활체육 활성화에 힘쓸 예정이다.
방세환 시장은 “2025년은 50만 자족도시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해”라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희망찬 변화, 행복도시 광주’를 구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정책 발표는 광주시청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