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반도체, 글로벌 AI 수요 증가 대응해 첨단 메모리 중심 투자 확대
정부가 올해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10대 제조업에 지난해보다 7% 증가한 119조원을 투자한다.  / 삼성전자
정부가 올해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10대 제조업에 지난해보다 7% 증가한 119조원을 투자한다. / 삼성전자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정부가 올해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10대 제조업에 지난해보다 7% 증가한 119조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제5차 산업투자전략 회의를 열고 10대 제조업 투자 실적과 계획을 점검하고 이같이 밝혔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10대 제조업 대표 기업과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10대 제조업 투자 실적은 114조원으로 당초 계획인 110조원을 초과 달성했다. 산업부는 고금리와 고환율 등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이 국내 투자를 주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올해 투자 계획을 살펴보면, 반도체 업계는 글로벌 AI(인공지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 메모리 중심의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자동차 업계 역시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점을 위해 전기차 전환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반면 이차전지와 철강 산업은 전기차 수요의 일시적 정체와 글로벌 공급 과잉 등의 영향으로 투자가 다소 위축될 전망이다.

회의에 참석한 기업들은 국내 투자 촉진을 위해 임시투자세액공제 연장, 과감한 금융 지원, 그리고 통상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했다.

이에 안 장관은 "우리 기업들이 국내 투자를 꾸준히 늘려나갈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며 조세특례제한법, 지역균형투자촉진법, 전력망법의 국회 통과 추진과 함께 무역구제 조치 강화를 통한 국내 시장 보호 등의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안 장관은 AI 혁명에 따른 변화와 기회에 주목하며 "AI 관련 투자에 실기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권선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