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연합뉴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연합뉴스

 

[한스경제=김근현 기자] 

중증외상 전문의를 육성해왔던 고려대구로병원 '중증외상 전문의 수련센터'가 정부의 지원 중단에 따른 예산 부족으로 문을 닫는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고대구로병원은 정부 지원금 중단에 따라 중증외상 전문의 수련센터를 이달 28일까지만 운영하기로 했다. 2014년 국내 최초 보건복지부 지정 서울 외상 전문의 집중 육성사업 병원으로 선정돼 센터를 설립한 지 11년 만이다.

중증외상은 교통사고나 추락 등에 심각하게 다친 경우를 뜻한다. 이런 상태의 환자에게 집중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의사가 중증외상 전문의다. 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전문의가 세부 전공으로 외상외과를 선택해 추가로 2년간 수련을 거쳐 세부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다.

정부는 그간 교육 훈련비 등 연간 예산 9억 원을 고대구로병원 센터에 지원했다. 매년 2명가량의 국가 장학 외상 전문의가 이곳에서 탄생, 지금껏 20여 명이 배출됐다.

그러나 올해 정부의 예산 지원이 중단되면서 고대구로병원도 더는 센터 운영을 이어갈 수 없게 됐다. 애초 내달부터 이곳에서 외상 전문의 수련을 받으려던 전문의 2명도 지원이 중단된다는 사실을 알고 포기했다. 중증외상환자에 대한 진료는 그대로 유지된다.

복지부는 고대구로병원에 지원하던 중증외상 전문의 수련센터 예산을 편성했으나 예산 심의 과정에서 삭감됐다고 설명했다.

복지부가 제출한 이 예산안은 기획재정부에서 삭감됐다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살아났는데, 국회가 증액 심의를 하지 않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결국 사라졌다.

외상 전문의 육성을 위한 지원이 사라진 데 대한 의료계의 우려는 크다.

현재 대한외상학회에서 국비 지원과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수련기관을 지정해 외상외과 세부 전문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긴 하지만, 이번에 수련기관이 줄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외상 전문의 수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다른 곳에서 외상외과 세부전문의를 수련할 수도 있지만 안 그래도 지원자가 부족한 상황에서 국가 지원까지 없으면 누가 하려고 하겠느냐"고 지적했다.

김근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