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시멘트 슬래그 치환율 70%로 높여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
성신양회, 포스코이앤씨, 동산콘크리트산업 관계자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성신양회
성신양회, 포스코이앤씨, 동산콘크리트산업 관계자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성신양회

[한스경제=김정연 기자] 성신양회는 포스코이앤씨, 동산콘크리트산업과 협력해 PosMent Max(3종 슬래그 시멘트)와 3D 프린팅 기술을 결합한 탄소저감형 인공어초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탄소저감형 인공어초는 시멘트 슬래그 치환율을 70%까지 높여 탄소배출을 줄였고,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해양생물 서식에 최적화된 맞춤형 구조물 제작에 성공했다.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해 경제적인 장점을 확보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 자원 순환을 극대화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성신양회는 설명했다.

이 기술을 통해 해양 생태계 복원뿐만 아니라 육상 생태 복원과 하천 개선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맞춤형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열 계획이다. 또한 장기적으로 건축자재와 인프라 구축 등 다른 분야에서도 응용할 예정이다.

이번 기술 개발은 포스코이앤씨의 에코 앤 챌린지 투게더 동반성장지원단 활동으로 진행됐다.

개발진의 한 관계자는 “순환 자원의 재활용 기술은 탄소중립 친환경 사회로 전환하는데 필수적인 기술로 지속 가능한 소재 기술을 통해 사회적 만족도를 높여갈 것”이라며 “이번에 도입한 3D 프린팅 인공어초 제조 기술이 에너지 비용 절감과 비정형 구조물의 창의적 설계 구현을 가능하게 해 미래 건설 환경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신양회는 포스코이앤씨, 동산콘크리트산업과 기술 개발과 협업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친환경 건설 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김정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