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연합뉴스

 

[한스경제=김근현 기자] 경찰의 소집령을 근거로 '내란수괴'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의 2차 체포영장 집행이 빠르면 오는 15일 새벽 5시에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관련 보도에 따라 경호처가 대응에 나설 수 있는 만큼 작전 효과 극대화를 위해 변동될 가능성도 있다는 게 경찰 안팎의 관측이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 및 서울·경기남부·경기북부·인천청 형사기동대장 등 광역수사단 지휘부는 14일 오전 10시부터 모여 체포영장 집행과 관련한 3차 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약 2시간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서는 차벽, 철조망 등으로 요새화가 이뤄진 한남동 관저에 진입하기 위한 임무 분담과 실행 방안 등 구체적 계획이 정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집행 저지를 시도하는 경호처 요원에 대한 진압, 관저 수색 및 윤 대통령 체포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장 집행에는 이들 4개 지방청 안보수사대 및 광역수사단 인력 1000여명이 투입될 예정이다. 서울청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만 301명이다.

이들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파견 발령 절차도 마쳤다. 파견 기간은 1월 15일부터 17일이다. 최대 2박 3일의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체포영장 집행에는 형사기동대, 마약범죄수사대, 반부패수사대 등에서 현장 경험이 풍부한 형사들이 대거 투입될 예정이다.

진입 후에는 체포조가 저항하는 경호처 직원들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체포하고, 호송조가 인근 경찰서 유치장으로 이들을 옮긴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 체포 전 경호처 수장인 김성훈 경호처 차장을 먼저 체포해 지휘부부터 무력화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경호처는 200여명의 인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경찰 3~4명이 경호처 직원 1명에게 붙어 한 명씩 뜯어내면서 진입할 예정이다.

대통령 관저에 도착한 뒤의 상황은 아직 미지수다. 윤 대통령이 마지막까지 문을 걸어잠그고 체포에 불응할 수도 있다.

경찰은 양측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최대한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영장을 집행한다는 입장이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을 체포할 때 수갑이나 포승줄 등을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윤 대통령이 체포되면 정부과천청사 내 공수처로 이송해 조사한 뒤 경기 의왕시에 있는 서울구치소에 구금될 예정이다.

한편, 대통령 관저 외곽 경비를 맡고 있는 수방사 55경비단은 공수처 및 경찰관 등 체포영장 집행 인력에 대한 관저 출입을 허가했다. 또 SBS의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 경호처 역시 체포영장 집행 인력에 대한 관저 출입 허가 과정에 돌입한 것도 전해졌다.

김근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