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투자, MZ세대 중심으로 시장 확대돼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금융당국이 토큰증권발행(STO·Security Token Offering)과 조각투자 플랫폼을 제도화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은행권의 관련 시장 선점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STO는 부동산·미술품·주식 등 다양한 자산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디지털자산 형태의 증권으로 조각투자의 발행 형태 가운데 하나이다. 암호화폐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해 기업이나 개인이보유한 자산(부동산, 그림, 명품, 부동산)등을 토큰화해 자본을 조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조각투자는 주식 1주를 쪼개 거래할 수 있는 ‘소수점 투자’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러 명의 소액투자자들이 모여 개인이 구매하거나, 소유하기 힘든 고가의 물품이나 부동산, 예술 작품과 같은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모바일로 소액 투자가 가능하고 진입 장벽이 낮아 상대적으로 금전적 여유가 없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투자가 활성화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으로 "증권 발행과 유통 혁신 등을 통한 기업 자금조달, 투자 여건을 개선하겠다"며 중소·벤처기업 등의 자금조달과 자산유동화를 지원하기 위해 STO와 조각투자 플랫폼을 제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실물·전자증권 외에 블록체인 기반으로도 증권 발행, 유통, 관리가 가능하도록하고, 현재 샌드박스 단계인 비금전신탁 수익증권을 활용한 조각투자도 법제화한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이 다양한 유·무형 기초자산을 투자계약증권으로 발행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있는 가운데 비이자 사업 확대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는 은행권의 조각투자 시장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곳은 NH농협은행이다. NH농협은행은 지난해 SH수협· 전북·IBK기업·신한·우리은행을 비롯해 국내 대표 조각투자기업, JB인베스트먼트 등과 'STO 컨소시엄'을 결성했다. 컨소시엄은 토큰증권 법제화에 따른 은행권 STO 시장참여 방안을 협의하고, 조각투자사업자이나 토큰증권 발행에 필요한 플랫폼 구축방안을 검토하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론 독일 지멘스 사례처럼 기업의 채권을 직접 토큰증권으로 발행하거나, 유통시장을 구축하는 등 토큰증권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NH농협은행은 미술품 조각투자기업 '서울옥션블루', 한우 조각투자플랫폼인 뱅카우를 운영하는 '스탁키퍼'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2024년 블록체인 민간분야 집중·확산사업'의 사업자로 선정돼 한국인터넷진흥원, 비디젠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을 구축하고, 해당 플랫폼에서 조각투자사업자들이 토큰증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조각투자 시장 선점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우리은행은 토큰증권 관련 법안 개정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전담부서를 지정하고, 우리금융그룹 계열사가 참여하는 전략수립 TFT를 운영하는 등 토큰증권 시장 진출을 위해 준비해 왔으며, 지난 2023년에는 삼성증권, SK증권과 ‘토큰증권 제도화 대응 및 신속한 시장 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에는 디지털자산 운용 플랫폼인 ‘피스’를 운영하는 '바이셀스탠다드', 세계 최초로 음원투자 플랫폼인 '뮤직카우' 등과 토큰증권·조각투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관려 시장 진출에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하나은행은 4대 시중은행 최초로 조각투자 연계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하나원큐 조각투자 연계 서비스’는 하나은행 대표 모바일 앱인 ‘하나원큐’를 통해 부동산∙음원 등에 대한 조각투자 신규 공모 소식을 빠르게 접할 수 있고,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조각투자사로 쉽고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금융그룹은 미래에셋증권, SK텔레콤과 함께 토큰증권 컨소시엄(NFI)을 구성해 토큰증권과 웹3.0 선도를 위한 사업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신한투자증권, 세종텔레콤과 토큰증권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세종텔레콤의 부동산 조각투자 서비스 ‘비브릭’과 연계한 △입출금 계좌 신규연동 △입출금 및 잔액조회 △예치금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한투자증권과는 토큰증권 발행·유통 지원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미술품, 부동산 등 고가의 자산을 소액으로 나눠 사고 팔 수 있는 시대가 됐다"며 "다양한 투자에 관심이 높은 MZ세대뿐 아니라 중장년층까지 조각투자에 참여하는 양상을 보여 관련 시장은 향후 양·질적 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보스턴컨설팅그룹은 국내 조각투자 토큰증권 시장 시가 총액을 2024년 34조원(GDP 대비1.5%)에서 2026년에는 119조원(5.0%), 2028년에는 233조원(9.4%), 2030년에는 367조원(14.5%)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