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3D프린팅 부품 수요 발굴·기술 개발 등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스경제=최창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방부와 국방 분야 3D프린팅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방 3D프린팅 관련 ▲부품 수요 발굴·실증 ▲기술 개발·제조 공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부품 공급망·산업 생태계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이 골자다. 지난 2017년부터 이어진 국방 분야 3D프린팅의 부처 간 협력을 지속·연장하고 고도화된 국방 부품 제조 능력 확보 등을 위해 추진됐다.

산업부는 국방부와의 협약으로 핵심 부품의 제작을 위한 기술력 확보와 함께 3D프린팅 부품 활용 확장에 따른 시장 확대를 기대했다. 관련 산업 생태계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3D프린팅의 소재·부품·장비·공정 연구개발을 지속해왔다. 최근에는 3D프린팅 관련 디지털 전환, 조선 MRO 관련 기술도 지원 중이다. 향후 3D프린팅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다.

윤성혁 산업부 첨단산업정책관은 “산업부가 축적해온 R&D, 인프라, 인력 등의 자산과 국방부·생기원의 역량이 결집돼 다양한 성과의 창출이 예상된다”며 “이번 협력이 국방력 강화뿐만 아니라 3D프린팅 업계의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는 상생 협력 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갑수 국방부 군수관리관은 “이번 협약은 국방 분야에 3D프린팅 기술의 확대 적용과 군의 자체 생산 기반 구축을 위해 한단계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앞으로도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국방부품의 자체 제작 능력 확보를 추진해 전투장비의 가동률 향상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창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