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부, “삼성의 미국 내 370억 달러 규모 시설투자 지원에 사용”
최종 보조금 감액은 보조금에 부정적인 트럼프 영향으로 분석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미국 정부가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는 삼성전자에 지급할 보조금을 47억4500만달러(약 6조9000억원)로 최종 확정했다.
이는 양측이 지난 4월 예비거래각서(PMT)를 서명할 때 발표한 64억달러(약 9조2000억원)에 비해 약 26% 감액된 것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20일(현지시간) PMT 체결과 부서 차원의 실사 완료에 이어 반도체법에 따라 47억4500만달러(약 6조9000억원)의 보조금을 삼성전자에 직접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상무부는 “이는 삼성이 향후 수년간 370억달러(약 53조원) 이상을 투자해 텍사스주(州)중부에 위치한 지금의 반도체 생산 시설을 미국 내 첨단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의 종합적 생태계로 만드는 것을 지원하는 데 쓰인다”고 설명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성명에서 “삼성에 대한 이번 투자로 미국은 세계 5대 최첨단 반도체 제조업체가 모두 진출한 유일한 국가가 됐다”며 “이는 인공지능(AI)과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최첨단 반도체의 안정적인 국내 공급을 보장하는 동시에 수만 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PMT 서명 당시,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약 24조6000억원)를 투자해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의 규모와 투자 대상을 확대해 오는 2030년까지 총 400억달러(약 57조9000억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었다.
결국 4월 당시 투자계획 대비 삼성의 시서투자 규모는 7.5%(30억달러) 줄었고, 미국 정부의 보조금 액수는 예비각서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보조금 지급 액수가 줄어든 이유는 외자 유치를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거액 보조금 정책에 비판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내달 20일 취임하는 상황이 변수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부터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짓고 있는 반도체 생산 공장에 추가로 새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고, 패키징 시설과 첨단 연구개발(R&D) 시설을 신축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또 지난달 5일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압도적으로 승리하면서 정권 교체가 결정되자, 바이든 행정부는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총액 390억달러(약 56조5000억원)의 보조금을 신속히 집행하기 위해 해당 기업들과의 협상에 속도를 내왔다.
앞서 미 상무부는 전날 반도체법에 따라 SK하이닉스에 최대 4억5800만달러(약 6630억원)의 직접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