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수원)김두일 기자] 김세용 경기주택도시공사(GH) 사장이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지방소멸, 대학이 살린다- 대학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대학도시 모델을 확산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세용 사장은 대학이 교육과 연구를 넘어서 창업, 주거, 문화가 결합된 도시발전 플랫폼으로 성장해야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교육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가 공동주최하고 지방소멸과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해법으로 대학도시 모델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김 사장은 기조발제를 통해 “대학도시는 대학의 인프라와 인재를 지역과 긴밀히 연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혁신 플랫폼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학 유휴부지와 자원을 활용해 창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주거와 산업이 결합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대학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어 대학도시 모델의 주요 거점으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김 사장은 덧붙였다. 그는 경기도 내 사립대학의 유휴부지를 매입해 대학과 협력하여 도시첨단 산업단지 등을 개발하는 ‘GH 주도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경기도와 GH가 함께 추진하는 판교 스타트업플래닛에 대해 설명했다. 판교 스타트업플래닛은 제3판교테크노밸리 내 7만㎡ 규모의 융합형 공공지식산업센터로, 앵커기업과 스타트업이 소통할 수 있는 오픈이노베이션 환경을 구축하며, 첨단학과 대학 유치, 공공기숙사 조성 등을 통해 직‧주‧락‧학(職住樂學) 모델을 실현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이를 통해 대학도시가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학도시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