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17일 오후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교양강좌의 특별강사로 초빙돼 병원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스토리가 있는 그림의 세계’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용인특례시 제공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17일 오후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교양강좌의 특별강사로 초빙돼 병원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스토리가 있는 그림의 세계’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용인특례시 제공

[한스경제(용인)=김두일 기자]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17일 오후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교양강좌의 특별강사로 초빙돼 병원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스토리가 있는 그림의 세계’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이 시장은 다양한 미술 작품을 소개하며, 그림과 화가들의 스토리를 중심으로 약 1시간 10분 동안 강의를 펼쳤다. 강의의 시작은 프랑스 소설가 스탕달이 이탈리아 피렌체의 산타크로체 성당에서 본 작품에 대해 남긴 기록을 소개하며, ‘스탕달 신드롬’이라는 현상을 설명했다. 이 시장은 "어떤 그림을 보고 몰입하거나 어지럼증을 느끼는 현상을 ‘스탕달 신드롬’이라고 한다"며, 빈센트 반 고흐와 ‘유대인의 신부’의 일화를 함께 소개했다.

이어 ‘다다이즘’의 창시자 마르셀 뒤샹과 초현실주의의 대표 작가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을 소개하며, 기존 예술의 통념을 뒤엎은 그들의 독창적인 작품들을 설명했다. 마르셀 뒤샹의 ‘모나리자’ 그림엽서에 콧수염을 그린 작품과 남성용 소변기를 예술작품으로 인정받게 만든 사건을 언급하며 예술의 자유로운 표현을 강조했다.

또한, 콜롬비아 화가 페르난도 보테로의 작품을 소개하며, 비판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신념을 지키며 활동한 예술가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이 시장은 “보테로의 작품은 낙천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일관성을 유지하며 활동한 끝에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초상화와 화풍의 변화를 소개하며, 작품이 가지는 의미와 화풍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예술 작품들은 고정관념을 깨고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준다"며 강의를 마무리했다./ 용인특례시 제공
이 시장은 초상화와 화풍의 변화를 소개하며, 작품이 가지는 의미와 화풍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예술 작품들은 고정관념을 깨고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준다"며 강의를 마무리했다./ 용인특례시 제공

이 시장은 이어 파블로 피카소와 구스타프 클림트, 주세페 아르침볼도의 작품을 소개하며 그들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와 창의력을 강조했다. 특히, 아르침볼도의 기발한 상상력은 ‘살바도르 달리’ 등 후배 예술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작품들은 오늘날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이 시장은 초상화와 화풍의 변화를 소개하며, 작품이 가지는 의미와 화풍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예술 작품들은 고정관념을 깨고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준다"며 강의를 마무리했다.

이 시장은 강의를 마친 후, "의료 현장에서 늘 애써주신 용인세브란스병원의 모든 관계자들께 감사드린다"고 인사를 전했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