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도민들이 하루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습복구 체계로 전환하고, ‘경기도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한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도 제공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도민들이 하루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습복구 체계로 전환하고, ‘경기도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한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도 제공

[한스경제=(수원)김두일 기자] 경기도(지사 김동연)는 6일 폭설 피해 복구와 민생 회복을 위해 총 677.5억 원 규모의 긴급 재정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은 지난달 29일 발표한 301억5천만 원 외에 기금, 예비비, 특별조정교부금 등을 추가해 마련한 것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2일 피해 현장인 안성과 평택시를 방문한 자리에서 "통상적인 절차를 넘어 신속하게 피해를 복구하겠다"고 약속하며, "재정은 이런 데 쓰라고 있는 것"이라며 추가 지원을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공공시설 복구뿐 아니라 민간 피해 복구에도 재난관리기금, 재해구호기금 등 총 376억 원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가장 큰 피해를 본 소상공인을 위해 경기도는 300억 원 규모의 긴급생활안정비를 지원한다. 이는 재난지원금과 도 재해구호기금을 포함해 최대 1천만 원까지 지원하는 방식으로, 시설 붕괴나 자재 파손, 영업 중단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다. 경기도는 선 집행을 원칙으로 피해 사실이 확인되는 즉시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이번 폭설로 인한 피해 규모가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중앙정부에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이번 폭설로 인한 피해 규모가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중앙정부에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축산 농가와 농업인의 피해 복구를 위해 재난관리기금 30억 원을 추가 지원하며, 붕괴된 비닐하우스와 축산 시설 철거, 재난 폐기물 처리 등을 지원한다. 또한, 예비비 50억 원을 편성해 폐사된 가축 처리와 고립된 가축 구조에 필요한 재정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공공시설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경기도는 특별조정교부금 16억 원을 추가 지원한다. 지난 2일 지급된 73억5천만 원에 이어, 농수산물시장과 체육시설 등의 피해 복구를 위한 재정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번 폭설로 인한 피해 규모가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중앙정부에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특히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축산 농가, 농업인, 소상공인들이 최우선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재난지원금 추가 지원과 세제 감면 등이 포함된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도민들이 하루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습복구 체계로 전환하고, ‘경기도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신속한 피해 복구를 위한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피해 복구를 위한 긴급 지원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도민들이 재난을 극복하고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김두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