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윤석열 정권 퇴진 시까지 파업할 것"
한국노총, "민주노총 무기한 총파업 등에 연대 약속"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내린 계엄사령부 포고령에는 파업, 태업, 집회를 금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돼있다. 노동계는 예고했던 파업을 ‘대통령 퇴진’ 운동으로 확대해 전개할 것을 밝히며 입장을 강력히 했다.
국내 노동계를 대표하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4일 새벽 계엄령에 반대하는 성명을 각각 냈다.
민주노총은 이날 무기한 총파업 돌입 계획을 내놨다. 8시 중앙집행위원회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 퇴진 시까지 파업에 나서겠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끝까지 대통령이기를 고집한다면 국민은 이제 헌법이 규정하는 국민주권 실현을 위해 전면적인 저항운동에 나설 것을 선포한다"고 전했다.
9시에는 광화문 광장에서 '윤석열 불법 계엄 규탄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을 위한 전면적 저항운동 선포 전국민 비상 행동' 집회를 열었다.
5일 총파업을 예고한 바 있는 민주노총 산하 공공운수노조도 긴급 성명을 통해 "5일 투쟁에 나서면서 '윤석열 퇴진'을 내걸었다"고 전했다. 수도권 지하철을 운영하고 있는 철도노조가 공공운수노조의 산하이며 같이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교통공사노조도 6일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등 사회적 대화 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4일 "한국노총은 윤석열 대통령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고 판단한다. 민주노총의 무기한 총파업을 포함해 인간과 노동자의 기본권이 보장되는 한국을 만들기 위한 이들의 노력에 지속적으로 강한 연대를 약속한다"라고 했다.
한국노총은 이날 열릴 예정이던 '지속가능한 일자리와 미래세대를 위한 특별위원회 6차 전문위원회'에 불참한다. 대신 중앙집행위 회의를 열어 경사노위 참여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방침이다. 사회적대화 역시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박정현 기자 awldp219@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