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 문제 신속한 대응,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중요"
[한스경제=김태형 기자] 한국철강협회와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은 25일 포스코센터 에서 '스틸 코리아(Steel Korea) 2024' 세미나를 공동 개최해 철강산업의 위기를 진단 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경호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국내 철강수요가 5천만t 이하로 위축될 것으로 예상돼 철강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친환경, 저탄소 체제로의 전환을 조기에 실현하고 미국의 트럼프 2기를 맞아 불확실성이 확대된 통상환경에 대해 발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연 대한금속재료학회 부회장은 축사를 통해 “철강산업은 다양한 산업에 기초 소재를 제공해 우리나라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으나 경제 블록화 및 보호무역 강화 등으로 유례없는 의기에 직면해 있다”며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철강소재에 대한 새로운 전략수립이 필요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과 파트너십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미나는 이어 민동준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의 기조강연과 최근 철강업계 주요 이슈인 통상 및 기후환경 세션으로 나누어 다양한 주제 발표 및 토론이 있었다.
민동준 교수는 기조강연에서 '산업전환시대의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철강산업은 미래에 대한 도전을 위해 인재확보와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면서 “우리는 제품‧기술‧환경의 고도화 AI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임계적 에너지 효율화를 통해 철강산업의 신세대로 도약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최된 통상 세션에서는 포스코경영연구원 이윤희 연구위원의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철강산업 대응방안', 법무법인 광장 박정현 변호사의 '미국 수입규제 개정에 따른 철강업계 영향', 고려대 조수정 교수의 '미국 대선 이후 한국 철강산업 영향', 서울과학기술대 이상준 교수의 '기후환경의 글로벌 규제화와 대응방안'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기후환경 세션에서는 정훈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의 '탄소중립 사회전환을 위한 산업전략', 유동헌 건국대 교수의 '국내 철강산업에 있어 CCUS와 수소 전략', 음광진 포스코홀딩스 리더의 '한국 철강의 경쟁력 있는 탄소중립 전환 방안', 김진효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의 '국내 배출권거래제 운영방안 주요내용'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한국철강협회와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은 이번 행사를 통해 전환시대에 접어든 철강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해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요업계와 공동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김태형 기자 tadkim@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