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연평균 8% 성장 목표…영업이익률 6%까지"
"그룹사 의존도 낮춰 해외고객 비중 10%→40%"
[한스경제=최창민 기자] 현대모비스가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 체질 개선에 나선다. 오는 2027년까지 매출은 연평균 8% 성장을, 영업이익률은 5~6%를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사업 목표를 공개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를 위해 오는 2033년까지 현재 10% 수준인 부품제조 부문 글로벌 완성차 고객 비중을 4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주주환원정책의 일환으로 총주주환원율(TSR) 30% 이상을 제시했다.
현대모비스는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현대모비스 대표이사인 이규석 사장이 전사 중장기 성장 방향성과 제반 전략을 직접 공개하고 글로벌 영업과 ESG 등 각 부문 전략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설명했다. 현대모비스가 기업설명회가 아닌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CEO가 직접 발표자로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먼저 현대모비스는 창사 50주년을 맞는 2027년까지 연평균 매출 성장률을 8%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영업이익률 5~6% 수준을 목표치로 내세웠다.
사업 성장과 함께 주주환원 정책도 추진한다. 현대모비스는 이날 현재 20% 수준인 TSR을 향후 3년간 30%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을 3년에 걸쳐 소각한다는 계획이다.
사업 부문별로는 전동화 분야에서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나 ‘보급형 전기차 구동 시스템’ 등 시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최적화된 제품의 선제적 개발을 통해 리더십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먼저 그룹사의 EREV 전략과 발맞춰 구동 시스템 등의 자체 설계 사양 개발과 함께 글로벌 수주 확대를 추진한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전환 과도기 대응을 겨냥한 EREV는 현재 설계검증·평가를 앞두고 있다. 오는 2026년 말 양산이 목표다.
배터리 시스템 안정성도 강화한다. 전동화 사업의 핵심 기술인 구동 시스템의 라인업 확대 계획도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현 시장 상황에 맞춘 120kw급 보급형 구동 시스템을 내년까지 개발해 유럽과 인도 등 소형 EV 중심 시장 집중 공략에 나선다. 현재 전기차 시장 주력인 160kw급 대비 약 70% 수준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는 설명이다.
대형 EV용 250kw급 구동 시스템은 현재 개발 완료 단계다. 프리미엄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한 수주 활동을 추진 중이다.
전장 분야에서는 SDV에 유연한 대응을 가능케 하는 통합 제어 플랫폼, 통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아울러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한다. 현재 북미 전기차 업체와 협업해 모비스의 첫 SDV 소프트웨어 플랫폼 ‘비전 링크’의 컨셉 개발을 완료한 상태다. 내년부터 본격적인 프로모션에 나설 계획이다.
현대모비스가 그간 사업 역량을 충분히 축적한 샤시·안전 분야에서는 기계 장치를 전기 신호로 대체하는 전자식 제동 시스템(EMB), 전자식 조향장치(SBW) 등 고부가가치 제품 라인업을 강화한다. 이 사장은 “이 같은 경쟁력 강화에 기반해 2030년 글로벌 샤시안전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겠다”라고 말했다.
미래 핵심 요소 기술 중 차량용 반도체는 팹리스 중심으로 독자 설계 역량을 집중 강화해 시스템 제어 품질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는 구상이다. 현대모비스는 폭스바겐, 벤츠, 스탤란티스 등 북미와 유럽 등 핵심 시장에서 대규모 수주를 통해 모듈 공급 파트너십을 확보했다. 전장과 반도체 등 미래 모빌리티 핵심 시장에서는 최근 글로벌 광학 기업 ZEISS와 홀로그래픽 HUD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는 등 통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영상인식, 전장 SW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날 현대모비스는 ESG 경영 방향도 공개했다. 오는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전환율 35%을 달성하는 한편 사업장 지속가능성 실사율은 제조사업장은 2025년까지, 부품사업장은 2027년까지 100%로 높이겠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는 온실가스를 2030년 30% 감축에 이어 2040년 사업장 배출 제로, 2045년에는 공급망 포함 넷제로를 완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의사결정 체계의 투명성도 한층 강화한다. 이사회 중심 경영과 소통 강화를 통해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은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을 중심으로 매출 성장이 본격화돼 수익성에 기반한 질적 성장이 기대된다”면서 “선도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부품제조 부문 글로벌 완성차 대상 매출 비중도 2033년에는 40%까지 확대해, 글로벌 톱 3 부품사로 도약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최창민 기자 ichmin6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