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화성)김두일 기자] 화성시(시장 정명근)는 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예산안을 발표하며 민생경제 회복과 성장을 위한 ‘민생 급속충전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정명근 시장은 "건전 재정은 기본, 적극적인 확장 재정을 통해 민생 경제를 회복시킬 것"이라며 전통시장과 자영업 등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예산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2025년 화성시 본예산은 일반회계 3조1187억원, 특별회계 3840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주요 세입은 지방세가 1조4650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14.99% 증가했으며, 세외수입은 30억원 증가해 자체재원은 총 1940억원이 늘어났다.
정 시장은 특히, 전국 최대 규모인 5090억원의 지역화폐 발행을 위한 지원 보조금 456억원을 확보한 점을 강조했다. 또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에 121억원, 농림해양수산 분야에 2992억원을 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에는 신규 사업으로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운영, 택시 야간운행 활성화, 화성형 재가노인통합돌봄 사업 등도 포함되었으며,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화성형 RE100 기본소득마을 지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 자율주행 리빙랩 기반 구축 등의 사업도 신규로 추진된다. 또한 시민안전보험 지원 28억원, 공공형 택시 손실보전금 지원 24억원도 전국 최대 편성 규모로 반영됐다.
정 시장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지역 경제 활성화와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확장예산을 편성했다"며, 주요 공공시설 건립과 인프라 예산을 통해 지역 건설 경기 활성화도 기대한다고 밝혔다.
화성시의 2025년도 예산안은 오는 11일부터 시작되는 제237회 화성시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16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한편, 정 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화성시의 미래 비전으로 ‘과학기술인재 특별시, 화성’을 선언했다. 그는 “화성시는 2040년 인구 160만명의 울트라 메가시티로 성장할 것이며, 과학기술 인재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 시장은 4대 과학기술원(KAIST, GIST, DGIST, UNIST) 통합 연구 거점을 화성시에 구축하고, 화성 과학고와 마이스터고 설립을 통한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제안했다.
또한, 카이스트와의 협력을 통해 첨단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하고 있으며, 향후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에 힘쓸 계획이다. 화성시는 인공지능(AI) 기술과 연계한 미래 교통 시스템인 도심항공교통(UAM)과 자율주행 리빙랩 실증도시 구축에도 나설 예정이다.
정 시장은 “급속한 변화와 치열한 경쟁의 시대에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의 미래를 좌우한다”며, “‘과학기술인재 특별시 화성’을 만들어 대한민국의 희망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브리핑 후 질의응답 시간에서 정 시장은 참석한 기자들의 질문에 성실히 응답하며, 민감한 현안을 철저히 파악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