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두일 기자] 세일즈 외교를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현지시각 17일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를 만났다.
캐시 호컬(Kathy Hochul)은 뉴욕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로 뉴욕주의 주도인 올버니를 떠나 김동연 지사가 일정을 수행하고 있는 뉴욕시까지 와서 회담에 응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18일 김 지사는 캐시 호컬 지사에게 ▲기후변화 공동대응 ▲스타트업 협력관계 구축 ▲AI기업 협력 강화 ▲경기도-뉴욕주 우호협력을 위한 MOU 등 4개안을 제안했다.
먼저 김 지사는 “기후테크, 기후위기로 인해서 취약계층이 힘들어하는 ‘클라이밋 디바이드’를 포함한 격차 해소 문제에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캐시 주지사도 같은 취지로 ‘기후 리더십 및 지역사회 보호법(CLCPA)’을 만든 걸로 알고 있다”며 “뉴욕주와 경기도가 국제사회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하는 데 같이 협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후 리더십 및 지역사회 보호법(CLCPA)은 기후변화의 타격이 큰 지역과 계층에게 청정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프로그램 혜택의 35% 이상이 돌아가도록 하는 제도이다.
캐시 호컬 지사는 “매우 좋은 생각”이라며 태양과 목표 설정, 미국 최대 연안풍력 전력망 도입, 배터리 저장, 건물의 전동화, 2035년까지 전기차 도입 등 주의 정책을 상세히 소개했다.
두 번째 제안(스타트업)과 관련해 김 지사는 “뉴욕은 실리콘밸리 못지않게 ‘스타트업 지놈’이라는 얘기를 들을 정도로 스타트업의 요람”이라며 “경기도에도 대한민국 전체 스타트업의 30%가 있고, 판교라고 하는 곳은 ‘코리안 실리콘밸리’라고 불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뉴욕시와 경기도 간 여러 가지 포럼, 박람회, 상호교류, 기업 간 홍보의 장을 마련하는 등의 스타트업 협력을 제안했다.
캐시 호컬 지사는 “(스타트업은)상호 이익이 되는 분야”라며 “경기도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뉴욕주의 스타트업들은 인력 부족 문제를 많이 겪고 있다”며 “자리가 마련돼 마치 ‘중매를 서듯이’ 스타트업들이 서로 교류하고 사연도 교환하면서 알아갈 수 있는 자리가 굉장히 중요한 것 같다”고 했다.
세번째 제안(AI)과 관련해 김 지사는 “한국에서 경기도가 AI 분야에 있어 가장 앞서 있다. 주지사님께서 AI를 적극 추진하고 계신 걸로 알고 있는데 저희도 ‘경기 AI 캠퍼스’를 이달에 개소했다. 경기도와 뉴욕주 간 AI 협력이나 기업 간 협력을 보다 강화했으면 한다”고 희망했다.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경기도는 한국에서 산업의 중심이고, 뉴욕도 미국의 중심인 만큼 첨단산업, 교육과 여러 가지 면에서 정기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MOU를 맺어서 같이 협력했으면 한다”고 했다.
캐시 호컬 지사 역시 “초청에 대단히 감사하다. MOU는 예전부터 검토하고 있던 부분인데 저희들의 지역 간 우정을 공식화하고, 특히 첨단기술의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한 협력을 공식화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 같다”고 긍정했다. 그런 뒤 “양 지역의 혁신경제가 서로 만나 기후변화, 의료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잘 공식화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검토하겠다. 제안에 감사드린다”고 회답했다.
김두일 기자 tuilk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