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시장 3분기 선행지표 개선에 감소세 지속
하반기 공공공사 감소 우려…지역엔 다른 접근 필요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수도권과 비(非)수도권 간 분양 시장 양극화 현상이 극심해지고 있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활황인데, 반해 지방은 미분양 주택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지방 부동산을 위한 현장감 있는 대책 시행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나온다.
윤석열 정부는 올해 들어 크게 3차례에 걸쳐 부동산 정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집값이 급등하는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미분양 물량으로 신음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7만1822가구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만3989가구(19.48%), 비수도권은 5만7천833가구(80.52%)로 집계됐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6038가구로 6월(1만4856가구)보다 1182가구(7.96%) 증가했다.
매매량을 봐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차이가 확연하다.
국토부의 2024 주택 통계에 따르면 올 1~8월 전국 주택 매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5만1578건)보다 17.5% 증가한 6만648건으로 조사됐다. 이 중 수도권은 54.04%(3만2776건), 비수도권은 45.95%(2만7872건)의 비중을 차지했다.
수도권의 매매량은 작년 동기(2만3277건) 대비 40.80%(9499건)가 증가했다. 특히 서울 주택 매매량은 지난해(6716건) 보다 63.7% 급증한 1만9992건을 기록했다.
그러나 비수도권의 경우 작년(2만8301건) 대비 1.5% 감소한 2만7872건에 그쳤다.
지역별로 광주가 12.5%(1554건→1360건)로 가장 높은 하락률을 보였다. △전남 11.4%(2023건→1792건) △경북 10.8%(2905건→2592건) △경남 7.7%(3480건→3211건) △충북 6.3%(2271건→2129건) 등이 뒤를 이었다.
전망도 그리 밝지 못하다. 올해 4분기 주택시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미분양주택 등 양극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건설 시장은 민간·건축 부문 부진으로 4분기 건설투자액이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3일 건설정책연구원은 '3분기 건설시장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올 3분기 건설 시장에서 수주와 건축허가, 건축착공면적 등 선행지표는 개선됐지만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3분기 건설수주는 7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28.4% 증가해 5.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축허가면적은 상반기까지 전년 동기 대비 20%가량 감소했다가 7월 들어 0.9% 반등했다.
건축착공면적은 지난 1분기(-9.6%)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가 지속적으로 회복세를 나타내며 7월 39.8% 증가해 10% 증가했다.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의 경우 1분기에 4.1% 증가했다가 2분기 들어 감소추세로 전환해 0.3% 감소했다.
건정연은 "건설 선행지표는 당장 크게 개선되기는 어렵지만 향후 1기 신도시 재건축, 3기 신도시 개발, 신공항 등 대규모 SOC 등 중기적으로 물량 회복세를 기대할 수 있는 요인이 있다"면서도 "부동산 PF 관련해서는 위기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PF 부실사업장 처리가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 위주의 현 부동산 정책으로는 비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해소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가 서울·수도권에선 거의 늘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 부동산 정책은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면 취득세와 양도세를 감면해서 거래를 활성화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에는 공급책을 펴는 게 맞지만, 지방의 경우는 소상공인·자영업자 등을 포함한 경제성을 포함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지방 분양시장 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지방 건설사들의 폐업이 우려스럽다"고 설명했다.
김호진 기자 hoo1006@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