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그린피스, 기후위기 및 경제성장 관련 설문조사 결과 공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청년들이 19일 오전 서울 신촌 스타광장에서 GDP 부작용의 결과를 보여주는 청구서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최대성 기자 dpdaesung@sporbiz.co.kr 2024.09.19.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청년들이 19일 오전 서울 신촌 스타광장에서 GDP 부작용의 결과를 보여주는 청구서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최대성 기자 dpdaesung@sporbiz.co.kr 2024.09.19.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2030 청년세대 대부분이 "환경 문제는 삶의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봤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현재 한국의 경제·사회 시스템에 대한 청년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기후위기 및 경제성장 관련 설문조사를 19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5일부터 지난 4일까지 한 달간 716명의 20·30대 청년을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20·30대 청년들은 미래의 기후위기 영향을 심각하게 걱정하고 있으며, 기후위기 및 경제 정책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상당히 미흡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하는 기후위기와 생태계파괴 등 환경 문제가 10년 내 삶의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3%는 '그렇다'고 답했다. 

또한 '현재 정부가 청년과 아동 등 젊은 세대들의 기후 피해를 고려한 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냐'는 질문에는 80.6%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GDP(국내총생산) 대안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청년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GDP를 대체하는 지표 개발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56.2%가 그런 편이다, 34.2%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정부 지출의 우선순위를 국민 정신건강이나 환경 보존 등으로 하는 '웰빙예산제' 도입에 대해서는 52%가 '동의한다', 36.9%가 '매우 동의한다'고 답했다. 

'웰빙예산제를 실시한다면 어떤 분야에 예산이 우선 투입돼야 하냐'는 물음에는 환경이 가장 높은 47.8%를 기록했다. 그밖에 사회복지 (32.2%),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17.9%) 등 순이다. 

신민주 그린피스 캠페이너는 "GDP라는 지표는 환경파괴나 가사 노동 등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한계가 뚜렷하다"며 "기후위기 문제가 인류의 생존 마저 위협하고 있는 현 상황을 볼 때 GDP는 결코 최선의 경제지표가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가 GDP 대안으로 마련한 국민 삶의 질 지표는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며 "기후·생태위기와 청년 삶의 질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대안지표를 전면 재수립하고 이를 실제 정부 예산 수립에 반영하는 뉴질랜드의 웰빙예산제와 같은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청년의 날(매년 9월 세 번째 토요일)을 앞둔 19일 GDP 맹신의 부작용을 알리는 퍼포먼스를 전개했다.

특히 오는 22일부터 23일까지 뉴욕에서 열리는 UN 미래정상회의에서 GDP를 대체하는 대안 지표를 만드는 안건(Beyond GDP)이 공식의제로 제안된 만큼 관련된 사회적 논의가 국내외에서 보다 확장될 전망이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