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의약품의 GMP 제조 및 품질 관리 역량 강화로 국민 건강 증진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소아암 치료에 사용되는 캐리엠아이비지(I-131 mIBG) 주사액과 같은 국가 필수 방사성의약품의 확대 생산과 안정적 공급을 목표로 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의약품 지원센터’를 설립해 개소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동수 유성구의회 의장, 안영진 대전식품의약품안전청 청장을 비롯해 한선희 대전광역시청 미래전략산업실장, 오승준 대한핵의학회 위원장, 고태정 삼성서울병원 참사랑회(소아암 환우 모임) 회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련 기관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황정아 국회의원(대전 유성을)은 영상 축사를 통해 “원자력 연구원 방사성의약품 지원센터가 방사성의약품 R&D의 핵심 허브로 자리매김해 한국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버팀목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원센터는 약사와 수의사, 연구원을 포함해 약 13명으로 구성돼 연구원 내 시설에서 연구를 수행한다.
요오드화나트륨과 같은 고품질 방사성원료의약품 BGMP 생산,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GMP 기술 지원, 동물용 방사성의약품 등에 대한 KVGMP 제조 기술 지원, 수입 방사성의약품 품질 검사 지원, 국산화가 필요한 방사성의약품 생산 기술 개발 및 관련 인력 양성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연구원은 올해의약품 생산시설 확장, 신규 의약품 품목 허가 획득 등 업무 영역을 확대한 데 이어, 이번 지원센터 개소로 방사성의약품 연구를 집약하고 전문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주한규 원장은 “방사성의약품이 국민에게 더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센터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 방사성의약품 산업 발전의 핵심 인프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960년대부터방사성의약품의 생산과 공금으로 국민 의료에 이바지해 왔다. 특히 2001년에는 최초의 방사성의약품 신약인 ‘밀리간(간암 치료제)’를 개발했고, 이후 18종 이상의 방사성의약품을 등록했다.
지난 5월에는 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에서 생산하는 방사성원료의약품 ‘KAERI 요오드화나트륨액’이 국내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은 바 있다.
신연수 기자 yshin@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