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KAMA·KAIDA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
[한스경제=최창민 기자]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가 계속 늘어나자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정확한 분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 강남훈)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회장 틸 셰어)는 12일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자동차 제동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사고기록장치(EDR)와 교통사고 조사 절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이날 박성지 교수와 이호근 교수는 급발진 의심 사고를 두고 사람의 실수라는 주장을 펼쳤다. 박 교수는 “급발진 의심 현상은 가속 케이블 고착, 플로어 매트 간섭, 엔진 오일의 흡기 유입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며 “운전 경력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휴먼 에러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제언했다.
이호근 교수 역시 차량의 브레이크를 강조하면서 휴먼 에러에 무게를 실었다. 이 교수는 "자동차의 제동력은 차량 중량과 속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보다 더 크게 설계돼 있고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기능을 통해 제동 신호와 가속 신호를 동시에 보낼 때 제동 신호를 우선하게 돼 있다"며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자동차는 무조건 속도가 감소·정차한다”라고 강조했다.
최창민 기자 ichmin61@sporbiz.co.kr
관련기사
최창민 기자
ichmin6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