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진드기 물리거나 2주 이내 발열 시 의료기관 방문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바로알기 리플릿./질병관리청 제공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바로알기 리플릿./질병관리청 제공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가을철 진드기 매개 감염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은 추수철 가을을 맞이해 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진드기 매개 감염병 감염 예방을 위해 농작업 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한다고 4일 밝혔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며 전체 환자의 76.2%가 가을철(9~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질병청에 신고된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으로는 쯔쯔가무시증이 연간 6000명 내·외의 환자가 지속 발생 중이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약 20%의 치명률을 지속 유지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5861명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 위험 요인으로 농작업 및 텃밭 작업(주말농장 포함)이 약 60% 이상으로 높아 농업인에 대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관리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농작업 및 텃밭작업 전, 또는 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며 진드기에 물렸거나 2주 이내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코로나19 증상과 유사하므로 진료 시 ▲의료진에게 농작업 등의 활동 이력을 알려야 한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가을철 수확작업 등으로 농작업 시간이 증가하므로 농업인이 진드기 매개 감염병 위험성을 이해하고 증상 조기 발견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적절한 현장 교육을 통해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발생 예방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가을철에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가 증가하므로 진드기 매개 감염병 고위험군인 농업인 등은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조기진단 및 적기 치료가 중요하므로 농작업 후 2주 이내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농작업 등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동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