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원자력硏, 초임계 CO2 발전 기술로 100kWe 전력 생산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초임계 이산화탄소(CO2) 발전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이용해 100kWe 전력 생산에 성공했다. /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초임계 이산화탄소(CO2) 발전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이용해 100kWe 전력 생산에 성공했다. / 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물을 끓여 발생한 증기로 터빈을 돌리는 ‘증기 발전 시스템’은 대표적인 발전 시스템이다. 증기 발전 시스템보다 더 높은 열효율을 얻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높은 열효율과 경제성을 지닌 발전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주한규)은 차세대 고효율 발전시스템으로 평가받는 ‘초임계 이산화탄소(CO2) 발전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초임계 CO2 압축기와 터빈을 이용한 100kWe 전력 생산 성능 시험을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초임계 상태인 CO2로 압축기와 터빈을 구동해 전기를 생산한다. 압축기에서는 유체를 저압에서 고압으로 압축하고 유체가 시스템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만든다. 고압의 유체는 터빈으로 흘러 들어가 내부 날개를 회전시키고 그 힘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연구원은 지난 2020년 초임계 CO2 발전 시스템의 핵심 장치인 압축기를 개발한 데 이어, 올해 터빈 개발을 완료하고 100kWe의 전력 생산에 성공했다.

초임계 CO2 발전 시스템은 기존 발전 시스템 대비 고온에서 높은 열효율을 가지며, 10분의 1크기의 간단한 구성으로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또한 태양열, 고온 연료 전지, 핵융합, 차세대 원자로, 엔진 배기열, 가스 터빈 배기열, 석탄 화력 등과 같은 다양한 열원으로 장치를 구동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번 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원은 4개 기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컨소시엄은 민군협력진흥원에서 주관하는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의 ‘수상함 배기열 회수 초임계 CO2 발전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해 이번 성과를 달성했다.

한편, 미국은 최근 에너지부(US DOE) 주관 하에 텍사스 샌안토니오에 10MWe급 ‘스텝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의 기술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진영 선진원자로연구소장은 “이번 초임계 CO2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생산의 성공은 향후 차세대 원자로와 소형모듈원자로의 동력변환계통 적용을 위한 초석을 다진 것”이라며 “이번 연구의 최종 목표인 전기 출력 500kW 생산을 올해까지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