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IEA·상의와 공동 주최, 부산 벡스코서 두번째 박람회 개막
‘AI로 전기요금 절감하는 에어컨’ 등 최신 탄소저감 기술 전시
정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부산벡스코에서‘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를 개최했다. 사진은 지난해 5월 열린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한덕수 국무총리가 개회사를 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정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부산벡스코에서‘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를 개최했다. 사진은 지난해 5월 열린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한덕수 국무총리가 개회사를 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정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주최하는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가 4일 부산벡스코에서 개막했다. 올해로 두 번째를 맞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세계 각국의 기후·에너지 분야 전문가와 기업들이 모여 최신 기술과 정책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박람회는 무탄소에너지 글로벌 확산을 위해 ‘기후 기술로 열어가는 무탄소 에너지(CFE) 시대’라는 주제로 3일간(4~6일) 개최된다. 기후에너지 분야 국내외 기업, 주요국 주한대사 및 정부 고위급 인사·국제기구 인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컨퍼런스 △전시회 △CFE 리더 라운드 테이블 등 다채롭게 구성됐다.

특히 전시회에는 기후·에너지 분야 국내외 540여개 기업들이 △AI를 통한 에너지 절감 기술(삼성전자) △증강현실(AR) 활용 주거솔루션(LG전자) △수소자동차 급속충전기(SK E&S)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중립 철강생산기술(포스코홀딩스) △AI·인공위성 활용한 발전량 예측 및 수요관리 기술(해줌) △소형원자력(SMR)·수소터빈(두산) 등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최신기술과 제품들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는 ‘CFE(무탄소에너지) 리더 라운드테이블’도 마련됐다. ‘탄소중립으로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국내외 기업과 정부 관계자, 석학, 국제기구 관계자 등이 글로벌 기후위기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의 해법을 모색했다.

행사에는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 박형준 부산시장, 이회성 CF연합 회장,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제임스 바커스 센트럴 플로리다대학교 석좌교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참여했으며, 32개 주한대사관, 24개 국가 대표단, 10개 국제기구 관계자들이 대거 참가했다.

데이비드 강 BNEF 한일리서치 총괄은 “글로벌 에너지 전환 투자는 계속 증가해 2023년에 1조7000억달러를 초과했다”며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2023년 대비 200% 이상 에너지 전환 투자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탄소중립을 위한 9가지 핵심기술로 △재생에너지 △원자력 △수소 △탄소포집 및 저장(CCS)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지속가능항공유(SAF) △열펌프 △전력 네트워크를 꼽았다.

패널토론에 참여한 국내외 기업들은 탄소중립에 기여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소개했다.

김용태 현대자동차 상무는 “수소는 에너지 매개체로써 수송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단”이라며 “최근에는 계열사, 파트너 기업과 함께할 수 있는 수소 전략을 마련 중에 있고, 내년에는 신형 넥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성민 LG전자 실장은 “LG전자는 2030년까지 스코프 1, 2, 3 전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며 “미국 내 모든 사업장은 이미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되고 있고 있다”고 소개했다.

황호송 삼성전자 상무는 “반도체 산업은 본질적으로 많은 양의 전기를 소비하며 사용량은 지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에 재생에너지만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탄소중립 달성 여부는 기업 경쟁력으로 직결돼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를 글로벌로 확대시켜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옌스 오르펠트 RWE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현재 한국에서 가장 먼저 선행돼야 할 것은 해상풍력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라며 “특별법이 통과되면 중앙 정부가 보다 주도적으로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통, 인프라, 이해관계자 수용성 문제 해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