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무인기 플랫폼 고도화로 차세대공중전투체계 기반 마련"
KAI-드론작전사령부 교류협력협약식 주요참석자. /KAI 제공
KAI-드론작전사령부 교류협력협약식 주요참석자. /KAI 제공

[한스경제=박시하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4일 국군 드론작전사령부와 유·무인 복합체, 드론, 미래비행체(AAV), 차세대 무인기 분야에서의 교류 확대를 위해 상호 협력 및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KAI와 드론작전사령부는 유·무인 비행체 분야의 기술 발전을 위한 민·군 교류 활성화에 나선다. KAI는 유·무인 복합체계(MUM-T) 기술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이 과정에서 드론 및 미래비행체 분야에 대한 드론작전사령부의 지원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현재 KAI는 헬기와 공중발사형 드론을 연계한 유무인복합체계(MUM-T)와 전투기·무인기·위성이 통합 연계된 차세대 공중 전투체계(NACS)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미래 전장 필수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유·무인 복합체계는 적은 인력과 운용비용으로도 전투 효과 극대화할 수 있어 전장을 선도할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또한 국내 최초로 군단급 정찰 무인기 송골매 개발에 성공한 이후 장기체공 성능을 기반으로 육상 및 해상 감시정찰부터 전자전, 통신 중계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한 차기군단무인기 블록2(Block-Ⅱ)를 개발 중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임무 장비를 장착해 감시정찰·통신 중계·공격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소형 다기능 무인 비행체에 대한 연구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KAI CS센터장 이상재 전무는 “수리온, LAH 헬기, KF-21 전투기, 우주·위성, 군단무인기 송골매 등 다양한 무기체계의 연구부터 생산까지 많은 운영 경험을 쌓아왔다”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무인기 플랫폼 고도화를 통해 유무인복합체계가 적용된 차세대공중전투체계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시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