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종훈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현지시간 16일 7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지난 4월과 동일하게 올해 3.2% 성장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성장률은 2.5%로, 지난 전망에 비해 0.2%p 상향조정했다.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 등 국내외 주요 기관 전망치와 유사하다. 우리 정부는 2.6%, 한국은행은 2.5%로 예상하고 있으며, OECD와 KDI는 2.6%로 전망했다. 이는 주요 선진국 중에서도 높은 수준이다.
IMF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41개 선진국 그룹의 2024년 성장률을 지난 전망과 동일하게 1.7%로 내다봤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의 경우 예상을 밑도는 1분기 실적에 따라 2.6%로 하향조정한 반면, 프랑스(0.9%), 영국(0.7%), 스페인(2.4%) 등 유럽 국가들은 실질임금 상승, 금융여건 개선 등에 따라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은 0.7%로 전망했는데 지난 1분기 일부 자동차 업체 출하 정지 등 일시적 생산차질을 감안해 성장세 둔화를 예상했다.
그밖에도 호주 1.4%, 캐나다 1.3%, 이탈리아 0.7%, 네덜란드 0.7%, 독일 0.2%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사우디, 남아공, 멕시코, 나이지리아 등 155개 신흥개도국 그룹의 2024년 성장률은 지난 전망에 비해 0.1%p 상향해 4.3%로 전망했다. 이중 중국은 5.0%로 민간소비 반등 및 견조한 수출을 전망 상향의 주요 요인으로 봤다. 인도는 7.0%인데 지난해 양호한 성장에 따른 이월효과와 소비 회복 추세에 따라 상향조정했다.
IMF는 2024년 세계경제 성장률에 때해 상·하방요인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상방요인은 성공적인 구조개혁을 통한 생산성 증가, 다자간 협력 강화를 통한 무역 확대 등을 제시했다. 반면 지정학적 갈등에 따른 물가상승 및 그에 따른 고금리 상황 지속, 선거 결과에 따른 정책 급변 및 재정적자·부채확대 등을 성장을 제약할 우려가 있는 하방요인으로 지적했다.
아울러 IMF는 통화정책과 관련해 인플레 리스크 상존시 금리 조기인하를 자제하고 필요시 추가 인상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며, 물가안정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가 뒷받침될 경우에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것을 권고했다. 이와 함께 급격한 자본변동성에 대비하기 위한 환율의 자유로운 조정 허용과 거시건전성 조치 적용 등도 제언했다.
그밖에도 경제활동인구 확대를 위한 여성, 이민자 인력 활용 제안과 자국 중심의 무역 왜곡 조치를 지양하고 다자간 무역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
박종훈 기자 plisilla@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