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미복귀·무응답 전공의가 대부분
하반기 전공의 모집 지원도 불투명
무더기 사직 불가피…수련병원 고심 깊어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의 병동 모습./ 연합뉴스 제공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의 병동 모습./ 연합뉴스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수련병원의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앞두고 정부가 제시한 사직처리 마감일(15일)이 지났지만 대부분 복귀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1만 여명에 가까운 전공의 무더기 사직이 불가피해지며 의료 공백도 장기화될 전망이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가 제시한 전공의 사직서 수리 마감 기한까지 극소수만 복귀 또는 사직 의사를 밝혔다. 

정부는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해 '수련 도중 사직 시 일년 이내 동일 연차·과목 복귀 불가' 규정에 예외를 마련했다. 또한 전문의 자격 취득 일정이 미뤄지지 않도록 국가자격시험에도 특례를 제공할 예정이다.

정부가 전공의의 사직서 수리 기한을 정한 것은 오는 22일부터 시작되는 수련병원의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일정에 맞추기 위해서다. 

이번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는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의 필수의료 과목뿐만 아니라 결원이 생기는 모든 과목이 모집 대상에 올라있다.

그러나 전공의의 대다수가 복귀 하지 않고 있는 데다, 수련병원의 사직 의사 여부를 묻는 연락에도 응답하지 않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는 "여론은 정부가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많은 것이 바뀐 것으로 해석하지만 전공의들은 정부의 대책이 전혀 바뀐 게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것"이라며 "정부가 내놓은 특례 규정들은 현실적으로 전공의의 수련 시스템과도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공문을 통해 수련병원에 지난 15일까지 전공의의 사직 의사를 확인해 오는 17일까지 전공의 결원을 확정해 달라 요청한 바 있다.

공문에 따르면 확정된 결원을 신고하지 않을 경우 정부는 수련병원의 모집 전공의 인원을 축소할 수 있다. 

이에 수련병원은 약 만명에 가까운 전공의를 일괄 사직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의료계 내부에서 일괄 사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서울대의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5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수련병원들이 전공의의 의사를 무시한 채 일괄 사직 처리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40개 의대 수련병원 교수 대표 역시 권고문을 통해 "개별 전공의의 복귀·사직 여부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사직 처리를 하는 것은 현 사태를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공의 일괄 사직 처리에 대한 교수들의 반발이 거세지며 수련병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서울시내 수련병원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무응답으로 일관하는 상황에서 사직 처리를 강행하자니 병원 입장에서도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라며 "정부가 사직 처리 일정을 촉박하게 잡고선 일정 연기에 응하지도 않을 전망이라 계속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의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수련병원 211곳의 근무 중인 전공의는 전체 1만3756명 중 1111명(8.1%)이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