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정라진 기자] 경기도 용인시민 10명 중 7명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내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원한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원하는 주 이유로는 기후위기 대응과 기업 경쟁력 강화, 에너지 자급화 등 경제적 요인을 꼽았다.
16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용인 시민들은 용인 국가산단에 건설할 발전소를 재생에너지원으로 계획하는 것에 찬성한 사람은 전체의 73.4%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신뢰수준 95% 최대 허용 표집오차 ±3.1%p)는 지난달 3일~12일 여론조사 전문 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용인시(기흥구, 수지구, 처인구)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찬성 이유(1+2순위 응답)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60.2%)가 가장 높았다. 그밖에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31.5%) △에너지를 수입하지 않고 국내 생산할 수 있어서(28.9%) △경기도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27.1%) 등 순이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는 응답자의 이유(1+2순위 응답)로는 △설치 시 자연환경 훼손이 우려돼서(58.7%) △폐기 시 해로운 중금속이 나온다고 들어서(33.8%) 등이다.
지난해 3월 산업통상자원부는 용인시 처인구 710만㎡ 일대에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을 2042년까지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같은 해 12월 산업부가 개최한 제4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는 해당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LNG 발전소 6기(3GW)를 건설하겠다고 공식화했다.
LNG 발전소가 개인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65.1%는 LNG 발전소 건설이 '주변 지역주민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54.4%는 '기후 및 주변 지역의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했다.
반면 두 질문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14.4%, 25.1%를 기록했다.
한편 응답자 세 명 중 두 명(69.5%)은 우리나라 기업의 RE100(재생에너지 100%) 달성이 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해 기업의 RE100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에서 도입하는 '경기RE100 거래 플랫폼'이 개인과 기업 차원에서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는 '경제(77.2%)' 및 '기후·환경(75.8%)'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 2022년 12월 에너지 싱크탱크인 사단법인 넥스트와 에너지 IT소셜벤처 식스티헤르츠가 공동 개발한 국내 태양광 발전 잠재량 지도에 따르면 경기도 용인시의 육상 태양광과 옥상 태양광의 잠재 설비 용량은 각각 11.04GW, 1.22GW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개발 불가 지역과 문화재 지역, 환경성 평가 기준을 고려한 결과로, 정부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세우려는 발전소 6기 설비용량인 3GW의 4배에 달하는 규모다.
그린피스 측은 "비록 발전소 효율과 재생에너지 간헐성 등 현실적인 제약이 존재하지만, 정부의 전력 공급 계획에는 국가산단 인근의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양연호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용인 시민들이 기후, 경제, 건강 측면에서 LNG가 아닌 재생에너지를 원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며 "정부는 시민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정밀한 전력 수요 예측을 통해 지역 재생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력 수급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주민들이 정확한 판단과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에너지원별 건강 및 환경 영향 등 관련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