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시하 기자] 기아, 닛산, 현대자동차, 포르쉐, 도요타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차량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가 이뤄진다.
국토교통부는 이들 5개사에서 제작 또는 수입한 32개 차종 15만6740대를 대상으로 시정조치를 한다고 11일 밝혔다.
기아 쏘렌토 13만9478대는 전자제어유압장치(HECU)의 내구성 부족으로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고, 유입된 이물질이 합선을 유발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이달 15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닛산 Q50, M30, M56, Q70 등 8개 차종 8802대는 프로펠러 샤프트 제조 불량으로 주행 중 프로펠러 샤프트가 파손돼 동력이 전달이 되지않아 추진력이 상실되고 안전 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어 오는 17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프로펠러 샤프트는 엔진의 동력을 차량 뒤쪽 차동기어까지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다.
현대차 일렉시티 등 2개 차종 2887대는 인슐레이터 내구성 부족으로 파손 가능성이 있고, 파손시 주행 중 구동모터와 차체가 분리돼 차량이 멈출 가능성이 있어 10일부터 리콜을 진행하고 있다. 인슐레이터는 차체와 구동모터를 연결하고 고정하며, 모터의 진동을 저감하는 장치다.
또한 현대차 GV70 2782대는 엔진점화장치 연결볼트 제조 불량(잘못된 사양으로 조립)으로 주행 중 시동이 꺼져 차량이 멈출 가능성이 있어 오는 18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포르쉐 911 카레라, 911 타르카 4, 911 터보 등 17개 차종 2054대는 주행보조시스템 소프트웨어 오류로 차선유지 보조기능 사용 중 차량이 차선을 이탈할 경우 계기판에 시각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오는 17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도요타 프리우스 등 3개 차종 737대는 뒷문 외부 개폐 손잡이 제조 불량으로 외부의 물이 유입돼 내부회로 고장이 발생하고 이로인해 주행 중 뒷문이 열릴 가능성이 있어 11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자차의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 및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박시하 기자 seeha@sporbiz.co.kr
관련기사
- 현대차 등 4개사 차량 45만여대 리콜...화재 등 안전 우려
- 테슬라 야심작 '사이버트럭' 2만3천대 또 리콜…판매 제동걸리나
- 현대차 등 5개사 차량 26만여대 리콜...화재 등 안전 우려
- 국토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설명회…타당성조사에 5억원 지원
- 불붙은 서울 아파트 가격…5년10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
- '간이의자'로 불붙은 GGM 노사갈등...캐스퍼 EV 흥행에 찬물 끼얹나
- 기아, 전기차 공유 서비스 ‘위블 비즈’ 파주시로 확대 운영
- 신축 공급 1/3 줄고 분양가는 오르는데…집값상승 조짐에 정부 경고
- 기아 ‘The 2025 셀토스’ 출시...인기 사양 기본으로 탑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