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내외 정형외과 전문의 대상으로 진행
‘재생의료 솔루션’ 임상적 유용성 공유
시지바이오가 세계족부족관절학회에서 런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시지바이오 제공
시지바이오가 세계족부족관절학회에서 런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시지바이오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시지바이오가 글로벌 정형외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세계족부족관절학회(IFFAS) 2024’에서 런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족부족관절학회(IFFAS)는 족부족관절학 분야의 학문과 진료, 연구, 교류, 발전을 위해 전 세계 정형외과 전문의들이 모이는 학회다.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5개 대륙별로 순회하면서 세계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아시아 첫 번째로 한국에서 개최됐다. 

정홍근 건국대학교병원 족부족관절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 런천 심포지엄에는 박광환 세브란스병원 교수, 박영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교수, 심동우 세브란스병원 교수가 연자로 나섰다. 

심포지엄에서는 ▲골대체재 노보시스(NOVOSIS) ▲피부이식재 시지덤 매트릭스(CGDerm Matrix) ▲피부이식재 시지리알로페이스트(CG Reallo Paste) ▲시지리알로인젝트(CG Reallo Inject) ▲음압 창상 치료기기 큐라백(CURAVAC) 등 시지바이오 제품의 임상 적용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박광환 세브란스병원 교수는 ‘족부 창상에서의 시지덤 매트릭스와 시지리알로페이스트의 사용’을 주제로 해당 제품에 대한 소개와 함께 당뇨발 수술 시 사용한 임상 경험을 공유했다. 

박영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교수는 ‘rhBMP-2가 포함된 노보시스를 사용한 족부 관절 수술’에 대한 임상 증례를 발표했다. 발목 관절 불유합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노보시스를 적용한 결과, 12~16주 이후 유합이 확인됐고 통증이 감소했음을 소개했다. 

심동우 세브란스병원 교수는 ‘시지리알로인젝트를 사용한 족부 수술’을 주제로, 근골격계 재생치료와 족부족관절 사례에 대해 강연했다. 

이번 강의에서 심동우 교수는 근골격계 재생 및 재파열률 감소 효과가 나타난 임상 결과를 공유하며 적용 범위가 확장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런천 심포지엄 좌장을 맡은 정홍근 교수는 질의응답 세션을 진행해 족부 창상과 족관절 질환 치료 솔루션의 적용 등에 대해 질문했으며, 임상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도 제시했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는 "이번 런천 심포지엄을 통해 자사 제품을 족부족관절 치료에 적용한 임상 증례를 공유하며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을 널리 알릴 수 있어 뜻 깊었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