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정라진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를 적용한 '요오드화나트륨(I-131)' 제품 출시가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I-131은 국내에서 GMP에 부합한 제품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다.
원자력연구원은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에서 생산하는 방사성원료의약품 'KAERI 요오드화나트륨(I-131)액'이 국내 최초로 지난달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방사성원료의약품은 방사성동위원소가 포함된 방사성 활성 물질로 방사성 완제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그 중 I-131은 난치성 암치료를 위한 방사성의약품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에게 주로 발병하는 신경모세포종 등 희귀 소아암의 치료제로 연구원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공급하는 방사성의약품 '요오드-131 엠아비지(I-131 mIBG)'의 주원료가 I-131이다.
그러나 방사성원료의약품은 방사성의약품과 달리 GMP 적용 의무 대상이 아니기에 기존에는 국내 식약처 허가를 받은 사례가 없었다. 이 때문에 국내 제약회사나 병원은 GMP가 적용된 I-131을 해외에서 고가에 수입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연구원 동위원소연구부 이소영 박사 연구팀은 하나로에서 생산되는 I-131액의 제품화 전 과정에 GMP 기준을 적용한 절차 및 방법, 장비, 시설 등을 구축해 지난해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고 이번에 허가를 획득해 제품 출시가 가능해졌다.
연구원 하나로의 I-131 생산 허가량인 연간 2000큐리(Ci)는 국내 I-131 사용 총량(2020년 기준 1537큐리)을 상회하는 것으로, 국내 수요 모두 충족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에서 규정한 의약품의 품질, 임상․비임상자료 양식인 국제공통기술문서(CTD) 작성, 유럽약전(European Pharmacopoeia)에 따른 품질관리 등 국제 기준에 맞춘 표준화로 해외 수출도 가능하게 됐다.
이번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사성동위원소 응용 표준화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지난 3년간 노력한 결과다.
향후 연구원은 'KAERI 요오드화나트륨(I-131)액'을 국내 방사성 완제의약품 제조, 가공업체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에 GMP 적합 판정을 받은 원료의약품 제조 시설 및 인프라를 활용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다른 방사성원료의약품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영욱 하나로양자과학연구소장은 "고품질 방사성의약품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국내 방사성의약품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다양한 방사성원료 및 방사성의약품의 수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