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인텔, 아태 8개국 평가...2027년 아태 AI시장 124조원
인텔
인텔

[한스경제=박정현 기자] 한국의 인공지능(AI) 성숙도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평균 이상의 상위권에 올라 있다는 인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 지역 AI 성숙도 최상위 국가는 싱가포르였다.  

인텔은 10일 한국,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등 아태 지역 8개국을 대상으로 AI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업·정부·사회경제적 준비 상태를 평가한 '2024년 IDC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성숙도 리서치'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아태지역은 전반적으로 중간정도의 AI 성숙도를 나타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탐색 단계인 1단계, 인도·대만은 AI 실무 단계인 2단계, 호주·일본·한국은 AI 혁신 단계인 3단계, 싱가포르는 리더 단계인 4단계로 평가됐다.

한국이 포함된 3단계는 기술 인프라와 데이터 관리 전략이 잘 구축돼 있고, 이를 통해 AI 이니셔티브를 계획·관리하며 산업에서 새로운 사용 사례가 나타나는 단계이다. 한국은 기업, 정부, 사회경제적 측면 모두에서 아태 지역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와 함께 아태지역의 AI 시장은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28.9%씩 성장해 2027년에는 907억달러(124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아태지역 AI 예산의 81%는 예측형·해석형 AI를, 19%는 생성형 AI를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서 한국은 광범위한 AI 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의 전체 AI 지출은 지난해부터 연평균 21.6% 증가해 2027년 41억달러(5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그 중 AI 인프라 투자가 지난해부터 연평균 12.8%로 크게 성장했다. 투자금은 고사양 서버 및 전용 AI 처리장치와 같은 컴퓨팅리소스 향상에 사용된다.

리서치는 한국이 상담원 보완 같은 고객서비스 혁신에 AI 사용을 우선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또 정부, 유통, 통신, 의료, 교육분야에서도 AI 지출이 상당한데 이들 분야는 자동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거나 디지털비서와 서비스 개인화를 통해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봤다.

아태지역에 대해서는 지난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내부 중심의 AI 이니셔티브를 위해 노력해왔다면, 올해는 AI를 활용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 AI 사용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박정현 기자

키워드

#인텔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