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29년 개항 예정인 가덕도신공항과 연계된 트라이포트 혁신전략 마련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 국토교통부 제공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 국토교통부 제공

[한스경제=김우정 기자] 부산시는 내년 7월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 도약을 위해 공항, 항만, 철도, 배후시설을 연계한 ‘트라이포트 혁신전략’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2029년 개항 예정인 가덕도신공항과 부산이 보유한 공항·항만·물류(철도), 배후시설을 연계한 트라이포트(복합운송체계) 혁신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용역의 주요 내용은 트라이포트 혁신전략으로 3대 추진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3대 추진전략은 △부산형 트라이포트 모델 정립 △맞춤형 제도 및 특구 운영체계 구축 △협치(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신산업 발전이다.

우선 물류산업 발전 기반(인프라)을 구축하기 위해 가덕도신공항과 항공·항만·철도가 연계된 부산형 트라이포트 모델을 개발한다. 제도적·정책적 방안으로 트라이포트 국제물류특구와 경제특구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지자체가 특구 지정과 운영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협치(거버넌스) 체계 구성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부산의 도시경쟁력과 위상을 높이기 위해 기업활동에 방해되는 각종 규제를 개선하고 고부가가치 창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방안 등 투자유치와 신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트라이포트 혁신전략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현장사진 / 부산시 제공
'트라이포트 혁신전략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현장사진 /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지난 23일 개최한 '트라이포트 혁신전략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에서 조삼현 동의대 교수는 부산시 트라이포트에 대한 구체적인 정체성을 구축할 것과 물류산업 전방위에 걸친 연계성 검토 및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천곤 산업연구원 박사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신산업 발전에 중점을 두고 특구 위주 사례와 신산업 투자유치 전략 분석이 있어야 하며 타 지자체와 경쟁 관계보다는 협력 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영태 부산시 신공항추진본부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가덕도신공항과 공항·항만·철도가 연계된 부산형 트라이포트 혁신전략을 마련할 것”이라며 “향후 수립된 전략을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과 현재 시가 진행하고 있는 각종 정책, 용역과 연계해 적극 추진함으로써 부산이 명실상부한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로 도약할 수 있게 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우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