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증 확대 등 지속 연구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HK이노엔이 소화기질환주간(Digestive Disease Week 2024, 이하 'DDW 2024')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의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한 연구는 ▲장기 투여 후 위 생리의 변화 및 소장 마이크로바이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P-CAB과 PPI를 비교한 비임상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후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과 PPI 제제의 상부 위장관 사건(GI events) 및 심혈관 합병증 감소 효과를 비교한 연구자 주도 임상이다.
해당 연구들은 이번 학회에서 최초 공개됐다.
김용성 원광대학교 소화기질환 연구소 교수가 주도한 ‘랫드(실험용 쥐)에서 P-CAB과 PPI 장기 투여 후 위 생리의 변화 및 소장 마이크로바이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임상 연구가 포스터 발표됐다. 이 연구에서 PPI 계열로는 에스오메프라졸이, P-CAB 계열로는 테고프라잔, 보노프라잔이 쓰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주 동안 P-CAB 또는 PPI 투여 시 P-CAB이 PPI보다 강력한 위산 억제 효과를 발휘하고, 위 배출 지연, 고가스트린혈증, 소장 내 세균 불균형은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번째 포스터 발표는 해운대백병원 소화기내과 이진 교수와 박종하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한 과제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후 항혈소판제를 투여 받는 허혈성 심장질환(IDH) 환자에서 케이캡정 또는 PPI 병용 시 상부 위장관 사건과 심혈관 합병증 발생을 비교한 후향적 연구다.
케이캡정은 가이드라인에서 투여를 권고하는 PPI와 유사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케이캡정이 항혈소판제 치료와 연관된 위장관 합병증 관리 시 PPI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K이노엔은 "이번 연구는 기존 소화기질환 뿐만 아니라 순환기질환에서 병용요법을 통해 케이캡의 치료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올해 ‘DDW 2024’에서는 대한민국 P-CAB 제제들이 활발히 활약하며 글로벌 P-CAB 시장에서 국산 신약의 가치를 널리 알렸다”며 “케이캡은 국내 P-CAB 시장을 선도하는 리딩 품목으로서 지속적으로 차별화 연구를 이어가는 것은 물론, 다방면으로 치료 영역을 넓히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No.1 P-CAB’의 입지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소영 기자 sylee03@sporbiz.co.kr
관련기사
- HK이노엔 "여름맞이 제로 칼로리 아이스티 2종 출시"
- HK이노엔, 3세대 GLP-1 비만 후보물질 도입
- HK이노엔 신약 케이캡, 중동·북아프리카 확장…진출국 45곳
- HK이노엔, 美 AACR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 HK이노엔, 청주 취약 아동 교육에 1200만원 쾌척
- HK이노엔, 美 피부학회서 ‘건선’ 신약후보물질 연구 공개
- HK이노엔, 국제 정보보안 인증획득…"정보관리 능력 증대"
- HK이노엔, 케이캡 특허 방어 성공…복제약 침투 늦춰
- HK이노엔, 자가면역질환 이중항체 기술 美 기업에 이전…"약 1조 3000억 규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