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근현 기자] 클레이튼(Klaytn)과 핀시아(Finschia)가 '카이아(kaia, KAIA)'라는 이름으로 합친다. 클레이튼과 핀시아 통합 블록체인 추진 협의체 '프로젝트 드래곤'은 오는 6월 말까지 체인 통합을 마무리 짓고 메인넷 및 토큰 출시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30일 서울 강남구 성홍타워에서 열린 '클레이튼 핀시아 통합 체인 신규 브랜딩' 공개 미디어 간담회에 참석한 조일현 클레이튼 마케팅 총괄은 "한국을 넘어 세계를 공략하기 위한, 양 체인의 역사와 기발함(Quirky)이 담긴 브랜드를 표현했다"면서 통합 블록체인 브랜드의 이름을 '카이아'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조 총괄은 "접근성, 커뮤니티 중심 운영, 지속 가능성, 단순성 및 유용성이라는 블록체인 메인넷의 본질을 구현하기 위한 포부가 담긴 브랜드"라면서 "혹자는 메인넷 통합이 과거를 지우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카이아라는 이름 아래 클레이튼과 핀시아가 가지고 있는 목표를 계속해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다음 단계를 향한 전진이라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클레이튼·핀시아를 통합하는 기술적인 로드맵은 총 2단계에 나눠 진행될 예정이다. 클레이튼은 이더리움가상머신(EVM)에 기반한 반면 핀시아는 코스모스의 코즘와즘(CosmWasm)에 기술적 토대를 두고 있어 통합 자체는 대규모 작업이 될 전망이다.
양사는 6월 중 테스트넷을 공개하고 6월 말 통합 메인넷 및 토큰 '카이아'를 출시할 계획이다. 현 1단계에선 클레이튼 EVM을 토대로 양사의 블록체인이 병합되게 된다. 특히 클레이튼의 기존 디앱은 통합 절차의 진행과 관련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핀시아도 기존의 FNSA 토큰이 발행되지 않는 형태로 기존 서비스가 운영될 수 있다. 기술적인 통합 2단계는 올 하반기부터 진행될 예정이며 이에 대한 리서치가 현재 진행 중이다.
김우석 핀시아 재단 이사는 "블록체인의 기술적인 통합에는 시일이 더욱 소요될 수 있어 연내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토큰 스왑 및 일부 토큰 소각 절차와 새로운 토크노믹스가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클레이튼은 인프라 자산이 많이 있고 핀시아는 프로덕트 자산이 많다"면서 "많은 사용자를 기반으로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10배, 100배 성장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합 토큰 '카이아'가 발행되면 기존 발행된 토큰들은 상당 부분 소각될 전망이다. 기존 토큰을 전환하는 스왑 서비스도 6월 말 공개된다.
서상민 클레이튼 재단 이사장은 "기존 디앱들의 서비스 연속성 보장이 이번 통합을 진행하는 데 있어 큰 요소이자 목표"라면서 "2분기 중 많은 서비스와 통합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실물연계자산(RWA) 및 스테이블코인 영역에서도 적극적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올 2분기, 3분기 동안 많은 부분이 공개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